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직장인 10명중 9명 "사내 갑을 관계 존재"

by

회사내 함께 일하는 동료들 사이에 '갑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796명을 대상으로 '사내 갑을관계 존재 여부'를 주제로 조사한 결과, 87.2%가 '있다'고 답했다.

회사 내에서 갑을관계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직급'(65.7%,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부서 및 업무 특성'(38.9%), '사내정치, 연줄'(25.4%), '장기 근속 여부'(19%), '나이'(17%), '인맥 등 네트워크'(12.4%) 등이 있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자신이 갑과 을 중 어느 쪽에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대부분인 92.5%가 '을에 가깝다'라고 응답했다. 특히, '사원급'(97.3%), '대리급'(89.6%), '과장급'(83.7%), '부장급 이상'(77.4%) 순으로 직급이 낮을수록 자신이 을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자신이 을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지시를 따라야 하는 상황이 많아서'(69.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회사에서 발언권이 적어서'(30.8%), '이유 없이 야근 및 잡일 하는 일이 많아서'(26.5%), '소속 부서의 사내 영향력이 적어서'(22.9%), '수익 창출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업무라서'(15.3%), '질책 당할 때가 많아서'(13.4%), '소속된 부서장이 무능한 편이라서'(12.1%)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자신에게 갑질을 하는 존재로는 '직속상사'(34.9%)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밖에 'CEO'(26.3%), '오너 일가'(12.5%), '관리 부서원'(8.1%), '타 부서 선배'(4.4%) 등이 있었다.

을의 입장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인해 95.5%가 직장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이직을 고민하게 된다'(69.2%, 복수응답), '근무 의욕을 떨어뜨린다'(65.7%), '애사심이 줄어든다'(53.8%), '스트레스로 업무에 지장이 생긴다'(53%), '자신감이 없어지고 소심해 진다'(29.9%), '야근이 많아 집중력이 떨어진다'(15.7%) 등을 들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