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올해 고졸 채용 전망은? 부정적 의견많아

by

공채 시즌이지만 경기 불황으로 채용 시장이 얼어붙은 분위기다. 특히 올해는 고졸 채용이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296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고졸 채용 시장 기상도'를 설문한 결과, '보통'(50.7%), '흐림'(24%), '맑음'(16.5%), '아주 나쁨'(8.8%) 순으로 응답해 부정적인 전망이 더 많았다.

실제로 올해 고졸 채용을 계획한 기업은 절반 수준인 58.8%였고, 이들 중 46%만이 채용 시기를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상, 하반기 둘 다'(51.3%), '상반기만'(32.5%), '하반기만'(16.3%) 순이었다.

채용 규모는 대부분(87.9%)이 '1~10명 미만'이라고 응답했으며, 계속해서 '10~20명 미만'(4%), '40~50명 미만'(3.5%), '20~30명 미만'(2.3%) 등이 이어졌다.

고졸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은 '면접 시 대처능력'(40.8%)이 1위를 차지했고, '출결 관리'(23%)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 '자기소개서'(11.5%), '학교 추천서'(4%), '학과 성적'(2.9%)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한편, 최근 5년간 고졸 채용을 실시한 기업(188개사)들은 채용이 가장 많았던 분야로 '제조/생산'(43.1%)을 꼽았으며, 이외에도 '서비스'(13.8%), '재무/회계'(9%), '영업/영업관리'(6.4%), 'IT/정보통신'(4.8%), '구매/자재'(4.3%) 등이 있었다.

고졸 채용을 실시한 이유를 살펴보면 '학력보다 능력이 더 중요해서'(59.6%,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전문성이 높지 않은 직무라서'(29.8%), '대졸자에 비해 저임금이라서'(13.8%), '고졸 인재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서'(12.2%), '고졸 직원의 회사 적응력이 높아서'(11.7%)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5년 전과 비교해 고졸자의 채용 규모가 증가했는지에 대해서는 '증가했다'가 33.5%로 '감소했다'(17%)보다 2배 가량 많았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