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5월 '황금연휴' 소식에 주요 기업들 "따르겠다!"

by

정부가 5월 초 최장 9일짜리 '황금연휴'를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힌 가운데 주요 기업들은 대체로 정부 정책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대체로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지정해 황금연휴를 만든다면 내수 활성화를 위해 이를 따른다는 분위기다.

다만 업종에 따라 연중 휴무 없이 공장을 돌려야 하는 사업장이나 공급 부족으로 공장 가동이 시급한 일부 기업은 휴일로 지정한 뒤 특근 등의 형태로 공장을 계속 돌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정부가 공휴일로 지정하면 우리도 쉬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장은 1년 365일 가동하는 만큼 공휴일로 지정된다 해도 공장은 계속 가동해야 한다. 또 스마트폰의 경우도 이 시기 주문이 몰리면서 수요가 폭증하면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철강업계도 반도체와 비슷하다. 생산라인을 1년 내내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교대 근무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업계는 원칙적으로 정부 방침을 따른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작년 임시공휴일에도 휴무를 했다. 올해도 정부가 대체휴가를 실시하면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화학업계는 황금연휴가 지정되면 이에 맞춰 근무조 조정 등 구체적인 지침을 정할 방침이다. 정유·화학업종은 생산라인 특성상 공장 가동을 멈출 수는 없다. 24시간 쉬지 않고 공장을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예년처럼 생산직 근로자는 최소한의 인력만 근무하도록 조정할 예정이다.

건설업계도 정부 지침에 맞춰 구체적인 휴일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건설업계는 2일과 4일이 황금연휴로 지정되면 본사 인력은 전원 연휴 내내 쉬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공사를 끝내야 하는 건설업종의 특성상 현장 인력은 공사 진행 상황에 맞춰 필수 인력만 근무하는 방식으로 교대로 쉬거나 아예 정상 근무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사는 일반 사무직원의 경우 정부 방침에 따라 임시공휴일에 근무하지 않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조종사, 승무원 등 항공기 운항 스케줄이 정해진 직원들은 연휴와 상관없이 기존대로 근무한다.

이미 기업 자체적으로 5월 2, 4일을 휴일로 지정한 곳도 있다. 효성 등 일부 기업은 이미 지난해 12월에 이처럼 휴일 지정 조처를 내려 직원들이 연달아 휴가를 갈 수 있도록 했다. 이들 기업의 사무직 근로자 중에는 해외여행 항공권을 이미 예약하는 등 일찌감치 휴가 계획을 짜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