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고용사정 악화, 사회인식 변화 등으로 집에서 아이를 돌보거나 살림을 떠맡는 남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노동을 하는 남자는 16만1000명으로, 201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의 수는 2003년 10만6000명에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며 2010년 16만1000명까지 늘어났다. 2012년 14만7000명으로 줄어든 뒤 2014년 13만명까지 줄었다가, 2015년 15만명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어 지난해 16만1000명까지 늘어났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의 수가 늘어난 것은 최근 전문직 여성의 증가나 전반적인 고용사정 악화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남성에 비해 높은 수입을 올리는 여성이 많고 전통적인 남녀의 역할 관계에도 변화가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여성의 수는 2013년 729만8000명에서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2014년 714만3000명, 2015년 708만5000명, 지난해 704만3000명까지 감소했다.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정책적 뒷받침 또한 남성이 육아와 가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중 정부가 시행 중인 '아빠의 달' 제도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의 100%(최대 15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명칭처럼 대부분 아빠가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여성계는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남성이 전체 육아 및 가사노동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겨우 넘는 수준"이라며 "꾸준한 정책적 뒷받침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