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지난해 가계 해외소비 사상 최대. 국내 소비지출보다 훨씬 빠르게 늘어

by

지난해 가계가 해외에서 쓴 돈이 29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 국민계정에서 가계의 최종소비지출 항목을 보면 지난해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서 소비로 지출한 금액은 28조9299억원(잠정)으로 2015년보다 8.3%(2조2275억원) 늘었다. 이는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0년 이후 사상 최대치다.

소비지출은 가계가 의식주 비용, 교통비 등 생활에 필요한 물건과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한 돈을 말한다. 반면 국내에서 인터넷 등으로 해외물품을 직접 구입한 '해외직구'나 회사 출장 등 업무로 쓴 돈은 포함되지 않는다.

가계의 해외소비지출은 2010년 20조1835억원으로 20조원을 처음 넘었지만 2011년 18조4011억원으로 줄었다. 그러다 2012년 21조8884억으로 다시 증가했고 2013년 22조7558억원, 2014년 23조1129억원, 2015년 26조724억원에 이어 작년까지 5년 연속 증가했다.

경제 규모가 커지고 세계화 영향으로 출국자가 늘어난 만큼 해외 '씀씀이'가 커진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이런 점을 감안해도 최근 2년간 해외소비가 국내 소비보다 훨씬 빠르게 늘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지난해 가계가 국내에서 소비로 지출한 규모는 모두 731조3905억원으로 전년보다 3.4%(23조7237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해외지출 증가율(8.3%)이 국내지출 증가율의 2.4배 수준이다.

심지어 2015년에는 가계의 해외지출 증가율이 15.5%로 국내지출(2.6%)의 6배에 가까웠다.

국내에서는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가계의 지갑이 더 크게 열린 셈이다.

해외지출 증가는 휴가 등을 이용해 외국을 찾는 국민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여행객은 2238만3190명으로 2015년에 비해 15.9% 늘었다. 저가항공 노선의 활성화 등으로 일본, 대만, 베트남, 호주 등 가까운 국가를 찾는 여행객이 급증했다.

한편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쓴 돈도 늘었다. 지난해 비거주자의 국내 소비지출은 16조5139억원으로 전년보다 15.9%(2조2613억원) 늘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은 1724만1823명으로 1년 전보다 30.3%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