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청년 취포자' 급증…'여가활동·그냥 시간보냄' 백수가 '구직활동'보다 많아

by

고용시장 한파로 청년실업률이 최고조인 가운데, 구직활동 대신 여가활동으로 시간을 보내는 백수 청년층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의 '2017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졸업·중퇴 후 취업하지 못했거나, 취업했다가 일을 그만둬 미취업 상태인 청년층(15∼29세)은 147만2000명에 달했다.

청년층 부가조사는 통계청이 청년층의 직업교육 취업경험, 취업 경로 등 취업 관련 특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통해 집계한 결과다. 조사 대상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대상 가구원 중 만 15∼34세로, 올해 5월 14∼20일 사이의 취업과 관련한 24가지 항목을 집계했다. 이중 미취업 청년층의 활동상태는 '취업 관련 시험준비', '그냥 시간보냄', '여가 시간', '구직활동', '육아·가사', '기타'로 나눠 집계했다.

조사 결과, 35.4%인 52만1000명은 취업 관련 시험준비로 시간을 보냈다. 여행이나 독서 등 유희 관련 활동으로 '여가 시간'으로 분류된 청년층은 7만3000명(5%)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28.2% 증가했고,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청년층(4만7000명·3.2%)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가 시간을 보낸 청년층은 남성에서 크게 늘어 전년보다 105.2% 늘어난 2만8000명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구직활동이나 취업 준비, 육아·가사 등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층(그냥 시간보냄)은 25만6000명으로 전체 미취업 청년층 가운데 17.4%를 차지했다. 여가 시간과 그냥 시간보냄을 합하면 32만9000명으로, 전체 미취업 청년층 가운데 무려 22.4%를 차지한다.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층 19만명(12.9%)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한편 지난 6월 청년층 실업률은 10.5%로, 6월 기준으로 1999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고용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 2021년까지 청년 실업자가 130만명을 넘을 것이라는 기획재정부의 추산도 나온 상황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