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손흥민 측면→중앙 시프트, 근호+기훈도 살릴 수 있다

by

한국 축구 A대표팀 간판 스타 손흥민(토트넘)이 '측면'에서 '중앙'으로 이동한다. 신태용 A대표팀 감독은 11월 콜롬비아(10일) 세르비아(14일)와의 두 차례 친선경기에서 손흥민을 중앙에 투입하는 실험을 할 예정이다. 그는 "손흥민이 토트넘에서 뛰는 것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말했다.

손흥민의 '중앙 이동'은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선택이다. A대표팀의 득점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옵션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년여 동안 A대표팀에서 손흥민의 주 포지션은 측면 공격수였다. 울리 슈틸리케 전 감독도 그랬고, 신태용 감독도 다르지 않았다. 신태용 감독은 지난 4경기에서 그동안 중앙 공격수로 황희찬(잘츠부르크) 황의조(감바 오사카) 등을 투입했다.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란(0대0) 우즈베키스탄(0대0)과 비겼고, 러시아(2대4) 모로코(1대3)에 졌다.

손흥민의 중앙 투입은 측면에서의 선수 활용폭을 넓혀주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신태용 감독이 이번에 뽑은 명단에서 중앙 공격수 자원은 손흥민과 이정협(부산 아이파크) 정도다. 원톱, 투톱 모두 가능하다. 더 효과적인 건 원톱일 것이다. 손흥민과 이정협이 함께 손발을 맞출 시간이 적기 때문에 매끄러운 투톱 호흡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측면에선 이근호(강원) 염기훈(수원 삼성) 권창훈(디종) 이재성(전북) 중에서 고를 수 있다. 손흥민이 빠지면서 경험이 풍부한 이근호와 염기훈의 출전 시간이 늘어날 수 있게 됐다. 최근 이근호와 염기훈은 A대표팀에서 주로 조커에 머물렀다. 이근호의 폭넓고 많은 움직임은 중앙의 손흥민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왼발킥이 정확한 염기훈의 크로스도 손흥민에게 더 많은 득점 찬스를 만들어 줄 수 있다. 현재 신태용호에서 염기훈 만큼 킥이 정확한 선수는 없다. 따라서 염기훈을 좀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손흥민은 중앙 이동으로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 움직일 수 있거나 만들 수 있는 공간도 넓어진다. 손흥민의 가장 큰 장점은 스피드와 슈팅력이다. 손흥민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선 달릴 수 있어야 하고, 또 더 많은 슈팅을 쏠 수 있도록 동료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중앙 시프트'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신태용 감독은 손흥민 카드를 버릴 수 없다. 손흥민은 현재 태극전사 중 가장 몸값이 높은 선수다. 유럽에서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는 동양인 선수다. 신태용 감독은 어떻게든 손흥민의 활용법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손흥민이 최적의 포지션을 찾으면 신태용 감독의 공격 퍼즐은 생각 보다 술술 풀릴 수 있다. 부상으로 이번 명단에 빠진 황희찬(잘츠부르크)이 다음에 가세할 경우 손흥민-황희찬 투톱도 가능하다. 저돌적인 움직임이 장점인 황희찬은 섀도 스트라이커로도 잘 어울린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