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중산층의 10명 중 6명, 노후준비 부실로 은퇴 후 실제 빈곤층 될 가능성 높아

by

우리나라 중산층의 10명 중 6명이 은퇴 후 실제 빈곤층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최근 발표한 '2018 중산층 보고서'에서 참여한 이번 조사에 참여한 중산층 가운데 은퇴 후 소득이 150만원 이하가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이 61.7%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6∼10일 30∼50대 중산층 남녀 112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중산층은 통계청 기준에 따라 중위소득의 50∼150% 사이의 소득을 올리는 계층으로 정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은 65.7%다.

이 보고서에서 현재 부부 기준(2인 가구) 중위소득이 277만원이고, 중위소득의 50%(139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를 빈곤층으로 분류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중산층 10명 중 6명꼴로 노후에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산층이 현재 마련한 노후자금은 평균 2900만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노후자금이 평균 1억480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 모은 노후자금이 목표 노후자금의 19.6%에 불과한 셈으로, 중산층의 노후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한편 조사에 참여한 중산층 중에서 자신이 실제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는 44.1%에 그쳤다.

반면 자신이 빈곤층이라는 응답자는 55.7%나 됐는데, 이는 중산층의 이상적인 소득 기준이나 생활 수준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라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현재 우리나라 중산층의 부채를 제외한 평균 순자산은 1억9900만원이다. 중산층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65만원이며, 이 가운데 평균 20%를 저축하고 한 달 평균 32만원을 부채 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승희 NH투자증권 연금영업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 중산층의 노후준비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을 활용하는 등 은퇴 후 생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