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잠 못 드는 밤, 수면제 없이 치료하는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란?

by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불면증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들랜드리포터텔레그램(Midland Reporter Telegram)은 최근 불면증에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미국내과학회(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은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를 만성 불면증을 가진 성인을 위한 1차 치료로 권고했다.



학회는 "행동변화는 수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학회는 "CBT-I와 약물치료법을 직접 비교할만한 증거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CBT-I은 수면제보다 해로울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CBT-I는인지 치료, 수면 제한 및 자극 조절과 같은 행동 중재, 수면에 도움이 되는 습관 개발을 포함한 치료법의 총체를 일컫는다.



만약 △잠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잠을 자다가 자주 깨는 경우 △3개월 이상 잠을 잘 못자거나 △잠을 자고 싶어서 눕지만 잠이 잘 오지 않는 경우 불면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신홍범 코슬립수면클리닉 원장은 "불면증이라고 진단을 받으면 보통 약물치료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약을 먹는 것이 정답이 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수면제는 불면증 초반에 잠시간을 조절하는 등 목적을 위해 의사의 명확한 처방에 따라 복용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치료법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CBT-I는 잠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잠을 계속해서 방해하는 행동을 바로잡아 잠드는 힘을 되찾는 불면증 표준치료다.



신 원장은 "인지행동치료는 대개 일주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개인치료로 시행한다"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8회기에서 치료를 종결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의 수면리듬을 파악하고 수면위생교육 후 수면생활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이완요법과 수면제한요법, 심상법과 근이완법 등 종합적인 치료로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신 원장은 "뇌파검사 및 뉴로피드백 치료도 불면증 약 없이 극복하는데 효과가 높은 치료법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