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닷컴 정유나 기자] '방구석1열'이 추석특집으로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과 '너의 이름은'을 조명했다.
21일 방송된 JTBC '방구석1열'의 띵작매치에서는 추석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보면 좋은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과 '너의 이름은'을 다뤘다. 이날 방송에서는 한국 애니메이션인 '마당을 나온 암탉'을 연출한 오성윤 감독과 원작 동화의 저자 황선미 작가, 배우 이준혁이 출연했다.
이날 소개된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은 국내 아동출판계 사상 100만 부 이상의 판매를 기록한 동화로 2011년 애니메이션으로 영화화 되었다. 당시 220만 이상의 관객을 돌파하는 큰 흥행을 거두었다. 남녀노소 불문, 큰 감동을 주는 작품으로 한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작품이다. 원작 동화는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렸다고.
황선미 작가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쓰게 된 계기에 대해 "만화책을 보다가 '길들여진 오리는 자기 알을 품지 않는다'는 주제의식이 담긴 문장을 읽었다. 거기서 힌트를 얻어서 큰 이야기의 줄기를 잡았다. 주인공 닭은 '6시 내고향'을 보다가 연상해냈다. 알을 품기 위한 닭의 모성애와 만화책에서 봤던 문장이 너무나 상반되더라. 한번 이야기를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됐다"고 설명했다.
오성윤 감독은 만화를 처음 봤을때의 놀라움을 떠올리며 "원작을 봤을 때 정말 엄청난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결말이 도발적이었다. 그래서 꼭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 애니메이션이 유아용에 국한되지 않은 온가족이 즐겨볼 수 있는 장르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에 변영주 감독은 역시 크게 공감하며 "만화를 보는 문화가 발전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선미 작가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영화화 하고 싶다는 오성윤 감독의 제의를 받고 많은 고민을 했다. 오성윤 감독의 작품 해석이 좋아서 영화화를 결정했다"며 그간의 고민을 밝혔다.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은 전문 성우들이 아닌 배우 문소리, 최민식, 유승호가 목소리 연기를 했다.
이에 대해 오성윤 감독은 "저는 사실주의적으로 연출된 애니메이션을 지향한다. 그래서 사실주의적인 연기를 하는 배우를 좋아하고 캐스팅했다"고 설명했다. 변영주 감독은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나그네의 목소리를 연기한 최민식에 대해 "어느덧 관객들은 최민식하면 '명량'의 이순신을 떠올린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며 '꽃 피는 봄이 오면' 당시의 '청년 최민식'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는 소감을 전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아이들이 보는 동화책의 특성상 다소 충격적인 결말로 화제를 모았다. 이로인해 독일 판에서는 엔딩 장면이 아예 삭제 됐다고. 이에 모든 출연진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며 "그 결말이 있기에 이 작품이 가치 있는 것"이라며 부득이하게 결말 부분을 삭제한 해외판에 큰 아쉬움을 드러냈다.
두번째로 소개된 영화 '너의 이름은'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작품으로, 도쿄에 사는 소년 타키와 시골에 사는 소녀 미츠하가 서로 몸이 바뀌는 신기한 일과 함께 생긴 사건을 그린 감동적인 영화다.
황선미 작가는 원작 없는 애니메이션을 본 소감으로 "원작이 없음에도, 빈틈이 없고 잘 짜여있고 매우 섬세하다. 그리고 이야기의 연결을 굉장히 잘했다. 무스비와 사람의 인연, 그건 시간의 흐름을 잘 연결시켰다. 우주적 관점과 주제 의식을 세밀한 이야기의 연결로 잘 표현했다"고 극찬했다.
오성윤 감독 역시 "실제 배경을 참고하여 풍경의 디테일을 잘 살린것 같다. 섬세한 풍경 덕분에 이야기의 완성도가 더욱 높아졌다. 실사 이상으로 정교하게 빛과 그림자를 묘사했다"고 '너의 이름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연출력을 극찬했다.
jyn201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