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모두가 이번에는 '진짜 힘들 것'이라고 했다.
그럴만 했다. 인천 유나이티드는 15라운드까지 단 1승도 챙기지 못했다. 지난 여름과 달리, 원하는 선수를 100% 데려오지도 못했다. 전력면에서 "예년만 못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실제로도 그랬다. 설상가상으로 인천은 내부적으로도 여러 내홍을 겪고 있었다. '소방수'로 낙점된 조성환 감독은 최상의 카드로 평가받았지만, '잔류'까지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모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잘 떨어지는 것'이 내년을 위한 '현실적인 목표'라고 했다. 심지어 인천 내부에서도 그렇게 생각했다.
인천은 적어도 '가을에서 만큼은' 항상 예상이 빗나가는 팀이다. 인천이 또 살아남았다. 인천은 10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서울과의 최종전에서 전반 31분 터진 아길라르의 결승골을 앞세워 1대0으로 이겼다. 승점 27이 된 인천은 11위로 또 한번 극적인 잔류에 성공했다. 5년 연속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잔류의 짜릿한 기쁨을 맛봤다. '잔류왕'이라는 평가가 딱 어울리는 행보다.
'조성환 매직'으로 밖에 설명할 수 없는 지난 3개월이었다. 인천은 16라운드 대구FC전 승리를 시작으로 12경기에서 무려 7승을 챙겼다. 가장 기적 같은 잔류라고 불리는 2016년을 뛰어넘는 드라마였다. 앞서 언급한대로 인천은 최악의 위기에 놓였었다. 프런트, 선수단 모두 흔들리고 있었다. 8월 부임한 조 감독도 "생각했던 것보다 상황이 더 안좋다"고 했을 정도였다. 몸도, 마음도 준비가 되지 않은 선수들이 너무 많았다.
조 감독은 하나씩 바꿔나갔다. 일단 선수들의 마음가짐부터 손을 댔다. 당장 강등과 잔류의 기로에 있었지만, 오히려 더 멀게 보기로 했다. 팀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4가지 원칙을 세웠다. 조 감독은 "부임하며 원팀, 기본, 소통, 경쟁을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고 했다. '원팀'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고, 생활이나 훈련, 경기에서 '기본'을 철저히 지키자고 했다. 팀이 안될 때 외부에서 요인을 찾고, 남탓을 하는 대신 '소통'을 통한 내부 힘으로 극복을 노렸고, 잘 준비된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며 '경쟁'을 유도했다.
동기부여에 일가견이 있는 조 감독 답게 사비를 털어 식사, 게임 등을 이어가며 분위기를 살렸다. 효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데뷔전에서 성남FC에 완패(0대2 패)한 인천은 이후 대구FC전에 이어, 중요한 수원 삼성과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살아나기 시작했다. 불씨에 불이 붙으니, 인천이 다시 타오르기 시작했다. 조성환식 스리백이 자리를 잡으며 수비가 안정감을 찾았고, 아길라르를 극대화한 전술 덕분에 무고사, 송시우 등이 터지기 시작했다. 성남전 6대0 완승은 그 정점이었다. 이후 부상에 발목이 잡히며 다시 연패에 빠졌지만, 조 감독은 흔들리지 않았다. 냉정한 운영을 앞세워 인천은 기적같은 부산 아이파크전 역전승을 비롯해 서울전 승리로 살아남았다.
'조성환 매직'이 만든 기적이었다. '주장' 김도혁도 "감독님이 우리를 깨웠다"고 했다. 인천은 매 시즌 후반기 감독 교체 효과를 봤다. 이기형, 안데르센, 유상철 감독의 '매직'을 앞세워 잔류에 성공했다. 올해는 더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조성환 매직의 파워는 강력했다. 하지만 언제까지 '마법'에만 기댈 수는 없다. 인천은 매년 '작년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야심차게 시즌을 시작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초반 부진-후반 반등의 공식은 올해도 여전했다.
결국 해법은 '인프라'다. 당장의 영입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인천이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선수들이 축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거기에 걸맞는 책임을 줘야 한다. 그래서 조 감독이 잔류 후 기자회견에서 작심하고 던진 화두를 주목해야 한다. "부임해보니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보였다. 긴 시간 동안 발전해왔지만 문제도 있다. 클럽하우스가 없어 휴식, 훈련에 애로사항이 많다. 구단주께서 해결해주시기 위해 계획을 갖고 준비하고 계신다. 저 또한 내년에 이런 상황을 만들지 않겠다고 약속하겠지만 구단 주변의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