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백화점 화장품 매출 줄었는데 향수 매출 급증 왜?

by

코로나19로 시향이 금지된 백화점 향수 매출이 오히려 늘어나고, 온라인몰 향수 매출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정부의 방역 지침에 따라 지난해 12월 24일부터 매장 내 시식과 시음, 견본품(샘플) 사용을 중단했다.

이로 인해 백화점의 화장품과 식품 매출은 일제히 감소했다.

지난달 롯데백화점의 화장품과 식품 매출은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22%, 21% 줄었다. 현대백화점 역시 화장품은 8.6%, 식품은 18% 감소했다.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색조 화장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매장에서 견본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소비가 더욱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반면 향수는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견본품 사용이 금지돼 시향을 할 수 없는데도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지난달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향수 매출은 각각 34%, 49.7% 뛰었다. 갤러리아백화점도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최근 1년간 매출을 분석한 결과, 향수 매출이 전년 동기간 대비 38.3%로 크게 증가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화장을 하지 않는 대신 새로운 측면에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향수를 찾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시향이 중단되자 온라인몰의 향수 매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지난달 신세계인터내셔날 온라인몰 에스아이빌리지의 향수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772% 급증했다. 이베이코리아가 운영하는 온라인몰 G마켓에서도 1월 향수 판매량이 1년 전보다 711%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향수를 일상적인 액세서리로 보는 시각이 확산하면서 향수를 뿌리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면서 "향수는 대표적인 자기만족 제품으로, 최근 소비 경향인 가치소비와도 맞아떨어진다"고 설명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