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카카오페이, 기관 수요예측 시작…'IPO 삼수생' 딱지 떼고 상장하나

by

하반기 대어로 꼽혔던 카카오페이가 드디어 기업공개(IPO) 일정에 돌입한다. 공모가 고평가 논란과 규제 이슈로 상장이 연기됐던 카카오페이가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이날부터 이틀간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에 들어간다. 희망공모가는 6만~9만원, 공모 금액은 최소 1조200억원에서 1조5300억원이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한 카카오페이의 예상 시가총액은 7조8000억~11조7000억원이다.

카카오페이는 공모가를 확정한 후 이달 25~26일 일반 청약을 받은 뒤 다음 달 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카카오페이는 국내 IPO 사상 처음으로 일반 청약자 몫 공모주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하기로 했다.

카카오페이가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당초 카카오뱅크에 이어 8월 상장 예정이었으나, 고평가 논란으로 금융당국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으면서 상장 일정이 9월 이후로 미뤄졌다.

이어 공모가를 기존 6만3000~9만6000원에서 6만~9만원으로 낮추고 10월 상장을 시도했으나 9월 말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전면 시행에 따라 일부 상품의 판매가 중단되면서 상장을 한 차례 더 연기했다.

증권가에서는 카카오페이가 금융당국의 규제 걸림돌을 당장은 해결했다고 보면서도, 상장 이후 성장 가능성을 시장에 보여주는 것이 과제라고 보고 있다.

이동륜 KB증권 연구원은 "금소법 적용으로 인해 온라인연계투자금융업(P2P) 투자, 보험상품 비교 등 카카오페이의 일부 서비스가 중단됐지만, 이들 부분이 카카오페이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에 불과하다"며 "정부가 플랫폼 사업을 잠재 규제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우려되나, 상세한 가이드라인 하에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은 오히려 리스크를 줄이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