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애플코리아 매출 대비 법인세 0.9%…"전 세계 평균 4%, 1/4 수준 불과"

by

애플이 국내에서 영업이익을 줄여 세금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애플코리아가 지난해 매출 대비 0.9%를 법인세를 냈지만, 전 세계 매출 대비 법인세 비중은 4%에 달했다. 양정숙 무소속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지난해 애플이 미국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보고서와 애플코리아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다.

양 의원의 분석 결과 애플코리아가 지난해 납부한 법인세는 628억9000만원이다. 7조971억9700만원의 매출 대비 비중은 0.9%다. 반면 애플이 지난해 세계 각국에 납부한 법인세 총액은 145억2700만달러(약 17조5000억원)로, 3658억1700만달러(약 440조7400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4%였다. 매출 대비 법인세 비중만 놓고 보면 애플코리아는 애플 전 세계 평균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애플코리아는 영업이익률도 1.6%에 그쳐 애플 전 세계 평균인 29.8%의 18분의 1 수준에 불과했따.

애플의 지역별 영업이익률은 미주 34.8%, 유럽 36.4%, 중화권 41.7%, 일본 44.9%, 기타 아태 지역 37.2% 등이었다.

한국에서의 저조한 영업이익률은 애플코리아가 주요 제품을 싱가포르 법인인 '애플 사우스 아시아'를 통해 수입하면서 매출액 대부분을 수입대금으로 지불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애플코리아의 수입대금은 매출의 95%인 6조7233억원에 달했다.

양정숙 의원은 "애플코리아가 매출원가를 과도하게 높게 잡아 영업이익을 낮춘 것으로 보인다"며 "영업이익률을 낮춰 세금을 회피하는 게 글로벌 기업들의 단골 수법이 돼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내 매출액이 늘어나는 만큼 투자와 고용,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는 대신 영업이익을 줄여 세금을 회피하고 있다"며 "애플이 영업이익률을 조정해 정상적인 세금을 납부하도록 당국이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