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 영향으로 25년 뒤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25~54세 핵심 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OECD 통계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핵심 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5.3%로 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하지만 2047년의 우리나라의 핵심 노동인구 비중은 31.3%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다가, 2060년에는 26.9%까지 줄며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20%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핵심 노동인구란 노동 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연령대 인구를 뜻한다. 국제노동기구(ILO)는 핵심 노동 연령을 25∼54세로 정의하고 있다.
한경연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연평균 핵심 노동인구가 0.5% 감소한 것에 대해 저출생에 따른 핵심 노동인구 감소세가 가팔라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핵심 노동인구의 고용률 역시 낮은 편이었다. 우리나라의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은 75.2%로, 관련 데이터가 없는 영국과 터키를 제외한 OECD 36개국 중 29위에 머물렀다. 한경연은 첫 직장을 얻는 '입직' 연령이 높은 우리나라의 교육·노동환경과 저조한 여성 고용률을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한경연 관계자는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성을 높여 첫 취업 연령대를 낮추고, 시간제 근로제와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