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전 세계인의 스트레스가 월요병, 이상고온, 허리케인을 경험할 때보다 더욱 크다는 소셜 미디어 분석 결과가 등장했다.
21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코로나19 초반인 2020년 1월 1일부터 같은 해 5월 31일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100개국 사람들이 트위터에 올린 게시글 6억5400만건을 수집한 뒤 자연어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코로나19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이 기간 트위터에서는 전 세계인의 정서 침체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선언한 2020년 3월 11일 이후 뚜렷해졌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일반적으로 주말에 가장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월요일에 가장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낸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월요병과 코로나19 팬데믹 스트레스를 비교했다.
그 결과 전 세계인의 일요일과 월요일의 평균 감정차는 0.18 정도였으며 코로나19 1차 기간 평균 감정차는 0.85에 달했다.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요병'의 4.7배에 해당한 것이다.
이번 논문 교신저자인 MIT 관계자는 "팬데믹 그 자체가 평상시 한주에 관찰되는 감정 변화의 4∼5배에 달하는 감정적 손실을 초래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팬데믹에 대한 충격은 이상고온을 경험했을 때보다 3∼4배 심했고 허리케인이 발생한 날보다도 컸다"고 덧붙였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