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한식이 양식보다 복부비만 예방에 도움" 연구결과 나와

by

한식 위주의 식습관이 양식보다 복부비만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식진흥원에 따르면 강재헌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지난 14일 열린 '2022년 제2차 한식연구 학술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강 교수는 지난 2009년 호주 왕립 프린스 알프레드 병원 내분비내과 이안 카터슨 교수팀과 한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조사팀은 체질량지수(BMI) 25∼40으로 비만인 25∼65세 현지 주민 70명을 2개 집단으로 나눠 3개월간 각각 다른 음식을 먹도록 했다.

한쪽 집단은 매일 3번의 식사 중 2번을 밥, 국, 김치와 반찬이 포함된 한식을 섭취했다. 다른 집단은 스파게티, 스테이크, 샐러드 등 양식을 먹었다.

그 결과 한식을 섭취한 집단이 양식을 먹은 집단보다 허리둘레와 복부지방이 더 줄었다.

한식 집단이 하루에 섭취한 열량은 1800㎉로 양식 집단(1300㎉)보다 많았지만, 허리둘레는 평균 5.7㎝로 양식 집단(3.1㎝)보다 더 많이 줄었다. 복부 체지방 감소율도 4.1%로 양식 집단(3.8%)보다 높았다.

한식 위주의 식단이 체중조절에 유리한 이유는 한식이 과식을 막아주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강 교수는 "밥 중심의 식사는 섬유소 함량이 높아 음식량에 비해 열량이 낮고 소화관에서 수분을 흡착해 부풀어 오른다"며 "이에 따른 포만감 때문에 배불리 먹어도 섭취 열량이 빵 중심의 식사보다 낮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한식의 중심인 쌀밥은 맛이 강하지 않아 거의 모든 종류의 반찬과 잘 어울려 영양소의 균형을 맞추기 쉽다"며, "포화지방은 적고 불포화지방산이 많기 때문에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