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서울성모병원 이종미 교수,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우수구연상 수상

by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종미 교수가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국제학술대회(ICBMT 2022)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이종미 교수는 골수섬유증 환자의 이식 후 재발 예측을 위한 미세잔존질환 (MRD) 및 키메리즘(chimerism) 분석에 대한 연구를 발표해 상을 받았다.

골수섬유증은 골수증식종양에서도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으로 동종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하며, 상당수의 환자들은 이식 후 재발을 경험하게 된다. 골수섬유증 환자의 이식 후 임상 경과는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재발을 정의하고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말초혈액 수치나 골수소견과 같은 고식적인 임상지표에 의존 할 경우 재발의 조기 예측이 어려워 적절한 중재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으므로, 분자검사를 활용한 질병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교수는 미세잔존질환과 키메리즘 분석의 재발 예측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입증하고, 재발의 조기 예측을 위한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결과 골수 섬유증 환자의 이식 후 재발 조기 예측을 위해서는 유전자의 후천성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JAK2(Janus Kinase 2) 및 돌연변이 정량 분석과 같은 MRD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이식 후 100일 이내의 추이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교수는 "국내 보험체계에서 JAK2 정량분석은 제한되어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 된 만큼 국내 검사실에 도입되어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로 6년차를 맞는 ICBMT 2022는 조혈모세포이식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치료 분야의 뛰어난 국내외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국제적 협력 및 학술 활동을 위해 개최되고 있으며, 이번 학회에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약 1000여명이 참석, 국제적 학회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