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WKBL 개막] 이적생들이 만들 팀 전력의 플러스 요인은?

by

'변수가 만들 선수는?'

이번 주 개막하는 '신한은행 SOL 2022~2023 여자프로농구'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변수가 만들어졌다.

FA로 인한 이적과 트레이드, 신인 드래프트 등을 통해 절반이 넘는 4개팀의 주전 라인업에 변화가 있기 때문이다. 선수층이 남자 농구에 비해 두텁지 못한데다, 좀처럼 팀 이적을 하지 않았던 예년과 비교하면 가히 '역대급'이라 할 수 있다. 팀 컬러는 물론 전력까지 좌지우지할 이적생들은 올 시즌 판도를 가늠할 키 플레이어임은 물론이다.

삼성생명에 신인으로 합류한 혼혈선수 키아나 스미스의 존재감은 단연 압도적이다. WNBA(미국 여자프로농구)에서도 뛸만큼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있는데다, 중장거리 공격 능력뿐 아니라 아직까진 국내에서 연습경기이기는 하지만 동료들을 잘 돕고 활용하는 이타적인 플레이도 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어머니가 한국인이기에, 기존 외국인 선수들보다 훨씬 친밀감 있게 동료들과 어울리는 것을 감안하면 시너지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공격보다는 수비에서 빨리 팀에 녹아드는 것이 관건이다.

공수에서 부지런히 뛰면서 팀의 살림꾼 역할을 하는 윤예빈이 부상으로 시즌 아웃이 되면서, 임근배 삼성생명 감독은 그 빈자리를 스미스가 잘 메워줄 것이란 기대감도 나타내고 있다.

FA 이적과 이에 대한 보상 선수로 팀을 맞바꾼 우리은행 김단비와 신한은행 김소니아 역시 엄청난 변수이다. 우선 김단비는 지난 시즌 KB스타즈로 FA 이적한 강이슬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강이슬은 하나원큐에서 공수를 모두 책임지는 '톱' 역할을 했지만, KB스타즈에선 박지수라는 든든한 버팀목에다 국가대표 라인업의 동료들의 지원을 받으며 3점슛 등 공격 본능을 재폭발 시켰다. 김단비 역시 팀 이적으로 특히 공격적인 면에서 스태츠가 한껏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스스로 밝혔듯, 자신의 수비 매치업 상대 중 박지수와 김정은 정도만 부담이 되는 선수인데 박지수는 공황장애로 언제 복귀할 수 있을지 미정이고 김정은은 이제 팀 동료가 됐기에 더 부담감을 덜 수 있게 됐다.

김소니아는 구나단 신한은행 감독이 구상하는 '스몰볼 농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공격적인 면에서 한번 흐름을 타면 좀처럼 막기 힘들 정도로 기세가 좋다. 다만 기복이 상당한데다 우리은행에선 수비적인 지원을 받았지만 신한은행에선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점, 완전히 새로운 선수들과 호흡을 맞춰야 한다는 것은 불안 요소로 꼽힌다. 전문가들이 신한은행의 전력을 '모 아니면 도'로 평가하는 이유다.

이밖에 역시 FA로 팀을 이적한 BNK썸의 한엄지의 활약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기존 멤버였던 김진영과 달리 공격의 폭이 넓은데다, 때론 센터 역할까지 할만큼 골밑에서의 몸싸움 능력도 가지고 있기에 센터 진 안, 베테랑 김한별 등 골밑 플레이를 하는 동료들과의 호흡 여부에 따라 팀 전력의 상당한 플러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