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에 댓글을 무더기로 달아 여론몰이에 나서는 이른바 '좌표 찍기' 행위가 발견되면 언론사에 통보하고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네이버는 28일 제휴 언론사 공지를 통해 "댓글 공간에서 이용자 반응이 급증하는 현상을 언론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29일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에 신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당 기능은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이나 비공감이 갑자기 치솟을 경우 24시간 이내 감지해 뉴스 서비스 내 별도 문구를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한다.
언론사에서는 '좌표 찍기'가 의심되는 기사에 대한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네이버는 "감지 기사 목록은 새롭게 개편된 댓글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언론사에서 해당 기사 댓글 정렬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직접 설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특정 댓글에 공감, 비공감이 집중 증가되는 기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모두 감지한다"며 "해당 기능은 베타 버전으로, 향후 감지 기준을 고도화하고 지속적으로 확장·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 네이버 뉴스 서비스 '좌표 찍기' 문제 대응책에 대한 질문에 "좌표를 지정하고 공감 수가 급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고, 미리 기술적으로 조치하지 못한 점에 대해 굉장히 심려 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확한 시점은 확인해 봐야 하겠지만) 4월 28일경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언론사들에게 해당 내용을 알리고, 이용자들도 즉시 알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정규 네이버 서비스운영통합지원총괄 역시 앞선 과방위 현안 질의에서 "좌표 찍기 같은 악성 댓글 어뷰징(조회 수 조작) 트래픽이 감지되면 언론사에 전달해 언론이 운영 방침에 따라 판단할 수 있도록 기능 개선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유튜브 등 공간에서 특정 기사에 이른바 '좌표'를 찍고 특정 댓글의 추천 수가 급증하는 현상을 놓고 정치적 공방이 제기된 바 있다.
kyunghe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