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 지원 문화사업 비율 66.4%…문화예산 비율은 감소 추세
(서울=연합뉴스) 임순현 기자 = 지역별 문화사업과 문화인력이 늘어나는 등 지역 문화 여건이 3년 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에 따르면 시계열 수치(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수치)로 조사된 18개 지표 중 13개 지표에서 직전 조사 기준연도인 2020년보다 평균값 수치가 증가했다.
우선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문화사업의 비율이 크게 늘었다. 광역 자치단체 지원 문화사업 비율은 10.2%포인트 증가한 66.4%를 기록했고, 기초 자치단체 지원 사업도 2.9%포인트 늘어난 59.0%로 파악됐다.
문체부가 추진 중인 '문화가 있는 날' 기획사업 건수도 2020년에 비해 늘었다. 광역 자치단체는 17% 증가한 5.5건을 기록했고, 기초 자치단체는 100% 늘어난 5.6건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 수, 문예회관 500개 객석당 무대예술 전문인력 수 등 지역문화인력과 조직 관련 지표도 증가했다.
반면 지자체별 전체 예산 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은 2020년보다 줄었다. 광역 자치단체가 0.32%포인트 하락한 1.75%를 기록했고, 기초 자치단체도 0.15%포인트 줄어든 1.93%였다.
지역별 문화 여건 각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표준화한 '지역문화지수' 분석 결과에서는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도시, 도농복합, 농촌 순으로 문화 여건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정책 부문에서는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재정자립도가 높을수록 지역문화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특별시·광역시와 도, 시·군·구 내에도 문화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광역 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제주·경기·세종·대구 등이, 기초 자치단체 중에서는 수원·성남·고양·용인·창원 등이 지역문화지수 상위권에 올랐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환경취약지역'을 선정해 지역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지역문화실태조사는 3년 단위로 이뤄지며, 이번 조사는 기초 지자체 245곳을 대상으로 문화정책·문화자원·문화활동·문화향유 등 4개 분야 총 36개 지역문화지표를 적용해 진행했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셈터' 누리집(stat.mcst.g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hyu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