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진이나 문구를 인쇄하는 '포토프린트' 케이크 및 '생화장식'·'레터링' 케이크 등 개인 맞춤형 주문 제작 케이크가 SNS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이 SNS에서 광고하는 주문 제작 케이크 15개 제품의 안전성 및 관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비식용 색소가 검출되는 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조사대상 포토프린트 케이크 5개 제품 중 1개 제품에서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색소인 아조루빈(Azorubine)이 검출됐고 다른 포토프린트 케이크 1개 제품은 타르색소 함량이 사용기준을 초과했다.
아조루빈은 식품 원료로 허가받지 않은 적색 색소로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아조루빈 혼합물에 노출될 경우 과잉 행동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타르색소는 석탄타르에 들어 있는 벤젠이나 나프탈렌으로부터 합성한 것으로,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색소는 독성이 적은 수용성 산성 타르색소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맛이나 영양과 거의 관계가 없으나 시각적으로 좋게 보이게 함으로써 식품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적색 제3호는 쥐 실험 결과 갑상선 종양발생과 관련이 있고, 적색 제40호 또한 동물실험에서 암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고, 황색 제4호는 유럽연합에서 천식 유발물질로 간주되고, 청색 제1호는 어린이에게 활동 과다를 일으킬 수 있어 섭취를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HHS)와 식품의약국(FDA)은 최근 석유 기반 합성 식용 색소들의 단계적 퇴출을 발표한 바 있다.
조사대상 생화케이크 5종 모두 먹을 수 없는 화훼용 꽃을 케이크에 직접 꽂거나 잎을 붙여 장식하고 있었다. 비식용 꽃으로 케이크를 장식하기 위해서는 꽃의 줄기, 잎 등을 랩이나 포일로 감싸 케이크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지만, 전 제품이 이에 대한 조치가 미흡해 케이크가 꽃에 사용된 농약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케이크를 제외한 장식용 꽃을 시험한 결과, 잔류농약 3종이 확인되기도 했다.
한편, 조사대상 15개 제품 모두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화, 포토프린트, 레터링 케이크의 제조ㆍ판매 사업자에 비식용 장식 꽃의 취급 방법, 사용하는 색소의 종류와 함량을 개선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생화, 포토프린트, 레터링 케이크 등 신유형 케이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점검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 개인 맞춤형 주문 제작 케이크를 구입할 때 상담ㆍ주문 절차, 환불 여부 등을 숙지하고, 제품 장식의 종류, 방식 등 취급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며 케이크는 가급적 빨리 섭취할 것을 당부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