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소상공인 폐업·대출 동반 증가…채무조정 요구도 늘어

by

경기 침체로 문을 닫는 소상공인들이 늘면서 대출 부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4월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 지급 규모는 6천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5천443억보다 11.6%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다.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같은 기간(2천635억원)의 두 배를 웃돈다.
신청 건수는 4만2천730건으로 지난해(4만2천888건)와 비슷했고, 2020년(2만9천631건)의 1.4배가 넘는다.
소상공인의 대출 규모도 커지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의 대출 잔액은 약 719조원으로 1년 전(704조원)보다 15조원가량 불었다.
불황이 깊어지면서 소상공인들은 매출은 줄고 있는데 갚아야 할 대출 부담은 커지고 있다고 토로한다.
강남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빚 없이 자기 돈으로만 장사하는 가게가 어딨겠냐?"며 "장사가 잘될 때야 큰 부담이 안 됐지만 재료비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하는 지금 같은 때는 대출이자가 야속하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당장 이번 달에도 휘청인다"며 "기존 대출이 있는데 더 받자니 (대출이) 너무 많아지는 게 아닌가 싶고, 없으면 불안하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채무조정을 요구하는 소상공인도 늘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소상공인 채무조정을 위한 새출발기금 누적 신청액은 지난달 말 20조3천173억원으로 20조원을 넘었다. 이는 지난해 11월 말 15조원을 돌파한 이후 5개월 만이다.
새출발기금은 부실 채권을 매입해 원금을 감면해주거나 금리와 상환 기간을 조정해주는 방식으로 채무를 조정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소상공인이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보증해준 신용보증재단이 소상공인 대출을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금도 지난해 2조4천억원을 넘었다.
오세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보증재단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위변제금은 2022년 5천76억원에서 2023년 1조7천126억원, 지난해 2조4천5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4월 누적 대위변제금은 8천147억원으로 지난해(8천370억원)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며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 역시 소상공인의 채무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한 정책자금 투입과 채무 조정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의 민생 회복을 지원하기로 한 추가경정예산(추경) 4조원 중에서 신용보증재단 신규 보증에만 2조원을 책정했다.
또 기존에 소상공인의 폐업과 재창업이나 재취업을 지원하던 '재기지원센터'를 개인회생·파산 등의 채무조정 지원 기능을 강화해 '소상공인 새출발 지원센터'로 개편했다.
아울러 서울회생법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소상공인의 채무조정을 신속히 마무리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기관경유 사건 전담재판부'를 신설하기로 했다.
소상공인들은 경기침체 속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한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불황에 조금씩 지원해주는 수준으로는 소상공인들 스스로 어려움을 헤쳐나오기 힘들다"며 "일자리, 전기요금 등 분야마다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 추경과 같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er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