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SC현장] "유아인만의 영화 아냐"…'하이파이브', 최강 팀워크로 편견 넘는다(종합)

by

[스포츠조선 안소윤 기자] 영화 '하이파이브'가 유아인 리스크를 극복하고 드디어 관객들과 만난다.

영화 '하이파이브' 언론·배급 시사회가 26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는 배우 이재인, 안재홍, 라미란, 김희원, 오정세, 박진영과 강형철 감독이 참석했다.

오는 30일 개봉하는 '하이파이브'는 우연히 초능력을 얻게 된 다섯 명이 그들의 초능력을 탐하는 자들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영화로, '과속스캔들', '써니' 강형철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강 감독은 연출에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보셨다시피 VFX(시각 특수효과)가 많은 영화다. 기술적으로 상당히 준비를 많이 했는데, 그게 현실과 맞닿아있길 바랐다. 그래서 일부러 캐릭터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웃이나 친구 같은 느낌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배우들은 '하이파이브' 개봉을 앞두고 긴장과 설렘이 교차하는 마음을 드러냈다. 심장 이식 후 괴력의 초능력을 가지게 된 완서로 분한 이재인은 "다섯 명의 배우가 한 팀이 되어 촬영을 하다 보니, 티키타카의 중요성을 느꼈다"며 "그동안 혼자 촬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영화를 통해 다른 배우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는 연기가 어떤 건지 많이 배웠다. 선배들과 함께 호흡을 맞출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극 중에서 다채로운 액션을 소화한 그는 "아무래도 액션 신이 많다 보니, 와이어와 그린벨트와 가장 많이 붙어 있었다. 처음에는 어느 방향으로 봐야 할 지 고민이 많았는데, 나중에는 적응이 되어서 초록색에 자동 CG를 깔아놓고 액션 연기를 했다"고 말했다.

안재홍은 폐 이식 후 강풍의 초능력을 뽐내는 지성으로 변신했다. 그는 작품의 매력에 대해 "감독님의 대본 자체가 이미 리듬감이 잘 짜여져 있었기 때문에 배우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면서 말의 리듬이 자연스럽게 생성된 것 같다"고 전했다.

특히 안재홍은 작품 안에서 기동을 연기한 유아인과 깜짝 키스신을 소화하기도 했다. 이에 그는 "기동과의 장면은 '하이파이브' 팀이 서로 대립하고, 날을 세웠던 걸 허물고 하나가 되는 장면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장 이식을 받은 성실한 프레시 매니저 선녀를 연기한 라미란은 "제 초능력은 약간의 노출 연기만 해도 됐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또 그는 지난 2015년 방송된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안재홍과 모자 호흡을 맞췄던 바 있다. 이에 라미란은 "이젠 세월이 많이 흘러서 저희 아들(안재홍)은 여러 엄마들을 거쳐왔고, 저도 여러 아들을 지나왔는데 제 시간은 거꾸로 흘러서 이번 작품에서는 미스로 나온다. 요구르트 아줌마라고 부르는데, 프레시 매니저라고 불러주셨으면 좋겠다. 아들은 나이가 들고, 저는 회춘해서 남매 같은 느낌으로 봐주셨으면 좋겠다. 여기서 한번 신분 세탁을 해보려고 한다. 전작의 모습보단 새로운 모습을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이외에 김희원은 간 이식 후 만병통치 초능력을 발휘하는 약선 역을, 오정세는 초능력자들 사이에서 갓반인의 존재감을 뽐내는 종민을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박진영은 췌장과 함께 젊어지는 초능력을 손에 넣은 영춘 역을 연기했다.

마지막으로 '하이파이브'는 개봉 확정까지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쳤다. 지난 2021년 11월 촬영을 마쳤지만, 주연 배우 유아인이 2023년 마약 투약 혐의로 적발되면서 개봉이 잠정 연기됐기 때문이다. 강 감독은 "한 명이 만든 영화가 아니라, 빛나는 배우들이 큰 즐거움을 드리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많은 실험과 노력, 진심이 담겼고, 진정성이 담긴 영화"라며 "드디어 5월 30일에 개봉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전작에 이어 7년 만에 개봉하게 됐는데, 그전까지 제가 만든 영화를 극장에 건다는 게 이렇게 영광스러운 일이라는 걸 잠시 잊고 있었다. 한국 영화가 어려운 시기인 만큼, 저희 영화와 같은 날 개봉하는 한국 영화 모두 잘 됐으면 좋겠다. 올해 개봉하는 한국 영화 모두 스크린이라는 마법 같은 공간에서 건승하시길 바란다"고 간절한 마음을 내비쳤다.

안소윤 기자 antahn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