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가 14년 역사상 처음으로 정규리그가 두 그룹으로 분리 운영되는 가운데, MSI를 마친 후 오는 23일부터 3~5라운드가 펼쳐진다.
1~2라운드 통해 상위 5개팀은 레전드 그룹, 하위 5개팀은 라이즈 그룹으로 나뉘었다. 레전드 그룹에는 젠지, 한화생명e스포츠, T1, 농심 레드포스, KT 롤스타가 속하고, 라이즈 그룹에는 디플러스 기아를 비롯해 BNK 피어엑스, OK저축은행 브리온, DRX, DN 프릭스가 위치해 있다.
3~5라운드에선 각 그룹에 속한 5개팀끼리 맞대결을 펼친다. 레전드 그룹에서 1~2위를 차지한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고, 3위와 4위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로 향한다. 레전드 그룹 5위와 라이즈 그룹 1~3위 등 4개팀은 플레이인을 치르며 라이즈 그룹 4~5위는 포스트 시즌에 참가하지 못하고 한 해를 마무리한다.
포스트 시즌의 시작인 플레이인은 9월 3~7일에 열린다. 4개팀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고 상위조 승자와 최종전 승자가 LCK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LCK 시즌 플레이오프는 6개팀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인을 통과한 2개팀은 레전드 그룹의 3~4위와 1라운드에서 맞붙고, 여기서 승리한 팀은 2라운드에서 레전드 그룹 1~2위와 대결한다. 1라운드에서 패하더라도 한 번 더 기회가 주어지며 2패를 당하면 탈락한다. 플레이오프의 첫 경기는 9월 10일 열리며 2025시즌 LCK 챔피언을 가리는 최종 결승전은 오는 9월 28일 펼쳐진다.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는 LCK 시즌 플레이오프는 기존의 롤드컵(LoL 월드 챔피언십) 대표 선발전을 대체한다.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우승을 차지하는 팀이 1번 시드로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며 준우승은 2번 시드, 결승 진출전에서 탈락한 팀은 3번 시드를 받는다. MSI 우승팀과 두번째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지역에 롤드컵 출전권이 추가로 주어지기 때문에 2일 브래킷 스테이지(8강)가 시작된 MSI 성적에 따라 LCK에 최대 4장의 출전권이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플레이오프 4위까지 롤드컵에 나서게 된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