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최만식 기자] 2046년 축구월드컵이 한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공동 개최로 추진될 전망이다.
일본 매체 '스포니치 아넥스'는 18일 '일본축구협회(JFA), 동아시아연맹(EAFF)과 ASEAN연맹(AFF)이 공동으로 2046년 월드컵 유치에 나설 계획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 매체는 '개최 후보국은 향후 모집할 계획이지만 일본,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 등이 중심이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 44년 만에 한국에서 월드컵을 개최할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스포니치 아넥스'에 따르면 아시아권 공동 개최 계획이 구체화된 것은 지난 3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EAFF와 AFF의 합동 회의였다고 한다.
미야모토 츠네야스 JFA 회장은 '스포니치 아넥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식으로 서류를 교환한 건 아니지만, '함께하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나눈 것은 맞다'고 인정했다.
축구월드컵의 아시아 공동 개최가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출전팀 증가 등 대회 규모가 확대하는 추세가 단독 개최의 장애물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내년에 열리는 북중미월드컵도 본선 참가국 수가 32개에서 48개로 늘면서 미국, 멕시코, 캐나다에서 분산해 열리고, 2030년 월드컵은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가 공동으로 개최한다.
2034년 월드컵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예정인데, 대륙별 순환 원칙에 따라 아시아에 월드컵 개최 기회가 돌아오는 때가 2046년이다..
이에 따라 2002년 이후 월드컵 개최를 목표로 하는 동아시아아와 2034년 월드컵 유치전에 뛰어들려다가 포기한 인도네시아, 호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2046년 공동 개최 방안이 급부상했다는 게 '스포니치 아넥스'의 설명이다.
JFA는 2005년 장기계획 선언에서 '2050년까지 월드컵을 일본에서 개최해 일본의 우승을 목표로 한다'고 천명한 바 있어 공동 개최라도 월드컵을 유치하기 위해 적극 나설 게 유력하다.
결국 2002년 월드컵 경험이 있고, 인프라도 풍부한 한국에서도 공동 개최 참가에 대한 여론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