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한국투자증권은 1일 알리바바의 자체 인공지능(AI) 칩 개발에도 엔비디아의 독점 구도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알리바바가 새 AI 칩을 자체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이 칩은 기존 칩보다 더 범용성이 높고 더 다양한 AI 추론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칩은 중국 내 업체에서 제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에 당일 미국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의 주가는 3% 이상 내렸다.
이에 대해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알리바바의 자체 칩 개발에도 엔비디아의 입지는 흔들림 없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마존,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이 모두 자체 AI 칩을 개발했거나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그러나 그 이후에도 TSMC의 CoWoS(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 할당 중 엔비디아의 비중은 2025년 40%에서 2026년 60%로 오히려 확대됐으며,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매출 역시 고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리바바의 자체 칩은 미국의 제재로 인해 TSMC 파운드리 이용이 불가능해 중국 내 생태계를 활용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AI 칩에 필수적인 HBM(고대역폭 메모리)은 그 자체만으로는 중국으로의 수출이 불가능하다"면서 "이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때 알리바바의 자체 칩은 일부 저사양 추론 영역에 국한해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아울러 그는 "AI 칩 개발과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단기간 내 이를 달성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알리바바가 자체 칩 개발을 완성한다면 구글에 이어 LLM(대규모 언어모델)과 자체 칩 모두를 보유한 두 번째 기업이 된다"며 "미국의 AI 패권에 위협이 되는 사건이지만, 엔비디아 측면에서 아직 큰 위협으로 받아들일 시점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engin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