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삼성전자·SK하이닉스, 미국·중국발 잇단 '악재'에 하락(종합)

by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미국과 중국발 '악재'가 지난 주말 잇따르면서 국내 대표 반도체 종목의 주가가 1일 하락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01% 내린 6만7천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도 4.83% 하락한 25만6천원에 장을 마감했다.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비중이 큰 두 종목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이날 코스피도 약세를 보여 전장 대비 1.35% 내렸다.
이는 미국과 중국에서 국내 반도체 기업에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뉴스가 잇따른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프로그램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2022년 10월 중국 반도체 산업 견제를 위해 반도체 장비의 중국 반입을 사실상 금지했는데, VEU 자격이 있는 업체는 미국의 허가 없이도 미국산 장비를 중국으로 들여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약 3년 만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VEU 자격이 취소되면서 향후 중국 내 공장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여기에 중국 최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인 알리바바가 자체 새로운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9일 알리바바의 새 AI 칩은 기존 칩보다 더 범용성이 높고 더 다양한 AI 추론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그간 알리바바는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였으나,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칩을 자체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이은 악재는 단기적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 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진영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지고 국내의 메모리칩 업계에 대한 투자 심리가 단기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2기 출범 후 중국 제재가 강화되면서 국내 메모리 밸류체인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으나, TSMC와 마찬가지로 메모리는 이미 수십 년간 공급망이 전 세계로 분산돼 미국 주도로 이를 재편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담될 수 있는 뉴스지만 곧 해소될 수 있는 불안감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engin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