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태릉 리포트]첫 발 내디딘 체육단체 선거 제도 개선 논의, 넘어야 할 산 만만치 않다…유승민 회장 "서두르지 않겠다"

by

[태릉=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

말 많고 탈 많았던 체육단체장 선거제도 개선을 위해 메스를 든 대한체육회 유승민 회장은 이렇게 말했다. 대한체육회는 9일 서울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체육단체 선거제도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체육회와 체육단체 선거제도 개선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선 체육단체 관계자를 비롯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법학자 등 각계 인사들이 참여해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제도 마련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유승민 회장은 대한체육회장 취임 직후였던 지난 3월 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선거제도 개편에 대한 생각을 밝힌 바 있다. 현장에서 뛰는 선수, 지도자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게 골자였다.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선위가 발족했고, 6개월 간 수차례 회의를 거쳐 이날 개선안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직선제' 도입안이다. 추첨 및 지명 방식의 기존 선거인단 제도로는 45만 체육인의 의사를 담기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목단체 임직원, 단체장 뿐만 아니라 선수, 지도자, 심판, 동호인이 포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직선제로 선거를 치른다는 방안이다. 모바일 선거는 이런 직선제 취지에 맞게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 도입 차원이다. 이밖에 선거운동 비용 제한, 후보 등록 자격 강화 등 다양한 안이 거론됐다.

하지만 직선제를 실현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제법 높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김원용 대한변호사협회 전 대변인은 "직선제 도입 시 등록선수 기준 축구가 전체 투표권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47.8%)을 차지하게 돼 '비인기 종목 소외' 논란이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체육회와 개선위가 가중치 부여, 표준편차 등을 적용한 '균형직선제'를 대안으로 제시한 것에 대해 노경우 인천광역시체육회 부장은 "일부 체육인 사이에선 '종목별 투표 비율 적용은 직선제 원칙에 벗어난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희 중앙선관위 위탁선거과장은 "모바일 투표 도입 시 선거경비 절감, 투표율 제고 등의 장점이 있지만, 대리투표 및 매수행위에 취약하고 디지털 소외계층 투표권 보장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홍완식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체육계 공감과 승인을 전제로 정관 및 회장선거관리규정이 개정돼야 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체육계 한 관계자는 "문자, 인쇄물 제작에도 수 천만원의 비용이 드는 상황에서 선거 비용을 제한하는 게 과연 현실성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유승민 회장은 "사실 '선거제도를 왜 바꾸려 하느냐'는 질문이 많았다. 체육회 뿐만 아니라 모든 관련 단체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혼란을 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며 "지난 회장 선거를 치르면서 체육인 모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선거 방향성에 대해 고민했다. 체육인 50만 시대를 바라보는 상황에서 53.6%의 투표율, 2244명의 선거인단 만으로는 체육인 전체의 뜻을 대변할 수 없다고 봤다. 모든 구성원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선거제도를 만들고 싶었다"고 개선안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물론 일괄적으로 모든 걸 바꿀 순 없다. 지역, 종목별 특성이 있다. 체육회가 관련 준비를 하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고 싶다"며 "서두르지 않겠다. 충분히 의견 경청하고 토론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최선의 방안을 만들고자 한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열심히 뛰겠다"고 말했다. 체육회 관계자는 "향후 시도체육회, 종목단체장 간담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개선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릉=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