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올 추석엔 과일 많이 먹울까"…공급량 증가, 수요 주춤 구매 부담 '↓'

by

올해 추석을 앞두고 과일 가격 부담이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과일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났고, 수요가 주춤해진 것이 과일값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1∼5일 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추석 가정소비용 과일 구매 의향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는 응답이 35.7%로, 증가(9.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과일 구매 의향이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54.8%였다.

21일 한국농천경제원 농업관측센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일류 구매 의향이 감소한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가격부담'(62.1%)이다. '가족이 싫어해서(11.9%), '가족구성원이 줄어서'(8.8%), '품질이 나빠서'(8.8%)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농업관측센터는 다만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간) 사과 출하량이 작년보다 6.5%, 배 출하량이 7.2%, 단감 출하량이 119.3% 각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과일 가격 부담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추석은 지난해에 비해 늦은 데다 고온으로 인해 사과·배 수확시기가 지연되며 추석에 집중적으로 출하되기 때문이다. 단감의 경우 지난해 이른 추석과 생육 지연으로 출하량이 적었지만, 올해는 대부분 품종의 출하가 가능한 게 대표적이다.

설문 결과 선물용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과일은 사과(35%)이고, 배(12.9%), 애플망고(12.1%), 포도(11.2%)로 나타났다. 추석 과일 선물세트 지출 의향 금액은 3만∼5만원(40.4%)이라는 응답(40.4%)과 5만∼7만원(31.9%)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과일 선물세트 구매처 선호도는 대형유통업체(53.9%)가 온라인 구매(8.8%), 농산물 도매시장 내 중도매인 상가(6.5%), 과일 소매점(6.2%) 순으로 조사됐다.

차례상을 준비한다는 가구의 비율은 응답자의 40.4%로, 2016년 조사 당시 74.4%와 비교해 40% 이상 감소했다. 명절 음식 구입은 주로 추석 2∼4일 전에 할 예정이라는 응답이 다수였고 예상 지출은 30만원대가 34.1%로 가장 많았다.

한편 농업관측센터의 조사는 수행 중인 '농식품 소비정보 분석사업'의 일환으로 엠브레인리서치가 보유한 소비자 패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