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27일 보성∼목포 철도 노선 개통…"남해안권 간선 철도망 완성"

by


목포∼부산 6시간 50분→4시간 40분…보성까지 1시간 5분만에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전남 서남해안 권역을 잇는 '보성∼목포 철도 노선'(목포보성선)이 개통하면서 남해안 권역을 연결하는 철도망이 완성됐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6일 오전 신보성역에서 개통식을 열고 27일 목포보성선 운행을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노선은 신보성역에서 목포 임성리역을 잇는 82.5㎞의 신설 구간이다. 총사업비 1조6천459억원이 투입됐다.
목포보성선에는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열차를 배치한다. 현재 비전철 노선인 보성∼순천 구간에서도 달릴 수 있는 열차를 투입한 것이다.
향후 2030년께 광주송정∼보성∼순천 구간 전철화가 마무리되면 KTX-이음을 투입할 예정이다.
목포∼부전(부산) 구간은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하루 2회씩 총 4회, 목포∼순천 구간은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하루 총 8회(새마을호 2회, 무궁화호 6회) 운행한다.
새마을호 열차 기준으로 목포∼부전 운행 시간은 약 4시간 40분으로 기존 광주송정역을 거치던 경로(약 6시간 50분)보다 2시간 이상 단축된다. 또 목포∼보성 소요 시간은 약 65분으로 기존 경로(150분) 대비 85분 단축된다.
또 남도해양 관광열차(S-train)는 목포보성선 신규 노선을 활용해 '광주송정∼부산'에서 '목포∼부산'으로 운행 경로를 바꾼다. 운행 횟수도 주 2회(토·일요일)에서 주 3회(금·토·일요일)로 늘린다.
이번 목포보성선 개통으로 서쪽 목포에서부터 동쪽 부산까지 잇는 남해안 간선 철도망 구축이 마무리됐다.

목포보성선에는 신보성역, 장동역, 전남장흥역, 강진역, 해남역, 영암역 총 6개 철도 역사가 새로 지어졌다.
이들 역사는 녹차밭 고랑(신보성역), 고인돌(해남역) 등 지역 대표 상징물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설계돼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일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아울러 임성리역과 영암역 사이의 영산강교는 국내 철도교량 최초로 9개 경간(교각과 교각 사이 공간) 연속 '엑스트라도즈드' 방식의 특수 교량 공법이 적용됐다. 콘크리트 주탑에 케이블을 연결해 하중을 콘크리트 거더뿐 아니라 케이블이 분담하도록 하면서 교량 경간을 넓게 만드는 방식이다.
국토부는 이번 노선 개통으로 영암, 해남, 강진, 장흥 등 전남 지역 철도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며 관광 산업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목포보성선 개통은 지역 상생과 국토 균형성장의 미래를 밝히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부전∼마산 복선전철, 광주송정∼순천 전철화 사업도 조속히 마무리해 남해안 전역을 하나의 생활·관광권으로 연결하고 목포부터 부산까지 2시간대에 이동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