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밤마다 괴로운 어깨 통증, 오십견인 줄 알았는데 파열?"

by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50대 직장인 A씨는 몇 달 전부터 지속되는 어깨 통증으로 고생했다. 팔을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들어 올릴 때 불편했지만, '나이 들어 생기는 오십견이겠지'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은 심해졌고, 밤에는 옆으로 누워 자는 것조차 힘들어졌다. 병원을 찾은 A씨가 받은 진단은 의외였다. 바로 '회전근개 파열'이었다.

회전근개 파열은 흔히 오십견과 혼동되는 어깨 질환이다. 두 질환 모두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생기지만, 차이가 뚜렷하다. 오십견은 관절낭이 굳어 움직임이 제한되는 반면,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이 손상돼 통증이 심하고 힘이 빠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야간 통증이 심해져 숙면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아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수원나누리병원 관절센터 임현규 과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회전근개 파열은 의외로 심한 통증이 없을 수도 있어 방치되기 쉽다"며 "실제로 오십견으로 알고 병원을 찾았다가 회전근개 파열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증상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소원근, 극하근, 견갑하근 등 어깨를 둘러싼 네 개의 근육과 힘줄로 구성돼 어깨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팔의 움직임을 돕는다. 그러나 한 번 파열되면 자연 회복이 어려워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회전근개 파열은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경우가 있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그러나 방치할 경우 힘줄이 말려 올라가거나 근육 위축, 지방 변성과 같은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수술을 하더라도 정상적인 기능 회복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치료 방법은 파열의 정도, 환자의 나이, 활동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MRI 검사에서 부분 파열이나 경미한 증상이 확인되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재활운동 등을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중등도 이상의 파열이나 급성 손상이라면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 봉합술은 1cm 이하의 작은 절개 부위를 통해 손상된 힘줄을 봉합하는 방법이다. 절개 범위가 작아 통증과 흉터 부담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임현규 과장은 "수술 후에도 어깨 건강을 오래 유지하려면 재활과 예방 관리가 필수적"이라며 "스트레칭이나 밴드 운동 등 어깨 근육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고,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거나 팔을 머리 위로 장시간 올리는 동작을 피하는 것이 회전근개 파열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