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중국 있는 월드컵 싫다 "대회 질 떨어져" 맹비판...中 월드컵 희망 와르르 "64개국 개최 확대 계획 없다"

by

[스포츠조선 김대식 기자]국제축구연맹(FIFA)은 월드컵 규모를 더 확대하자는 남미축구연맹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생각이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24일(한국시각) 'FIFA는 2030년 월드컵 100주년을 맞아 남자 월드컵 참가국을 64개국으로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지아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이 뉴욕에서 남미축구연맹 대표단과 이 문제를 논의한 뒤에도 변함없는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2030년 월드컵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3개 대륙 6개국 공동 개최라는 지금껏 보지 못했던 방식으로 개최된다. 월드컵 100주년을 맞이해 월드컵 초대 개최국인 우루과이를 중심으로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 유럽에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그리고 아프리카에서는 모로코가 개최국이 됐다.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 중 일부 경기가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 개최되고 중요한 토너먼트는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에서 진행되는 방식이다.이에 남미축구연맹은 월드컵 특수 효과를 제대로 누리고자 월드컵 개최국 확대를 주장했다. 2026년 북중미 월드컵부터 참가국이 48개국으로 확대되면서 규모가 커진 월드컵인데 이를 더 늘려서 64개국까지 확대하자고 인판티노 회장에 제안했다.

만약 64개국으로 확대된다면 단연 최대 수혜국은 중국이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로 중국은 단 1차례도 월드컵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번 월드컵에서 48개국으로 규모가 확대되며 아시아 국가들의 월드컵 진출이 수월해졌지만 중국은 그 기회마저도 살리지 못했다. 하지만 48개국에서 64개국으로 더욱 규모가 확대된다면 아시아 쿼터가 늘어나면서 중국이 참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대폭 상승한다.

중국이 월드컵에 참가하게 될 경우, 월드컵에 중국이 없을 때부터 많은 돈을 투자하던 중국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게 될 것이기 때문에 개최국이나 FIFA 입장에서는 당연히 재정적인 이득이 커질 것이다.하지만 64개국 확대 제안은 FIFA 내부에서도 강한 반발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 가디언은 'FIFA의 공식 입장은 월드컵 확대 논의는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이뤄져야 하며, 이사회에서 나온 제안은 검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64개국 확대가 실행 가능성이 낮다는 회의적 시각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가디언과 인터뷰한 FIFA 관계자는 "인판티노 회장이 원한다고 해도 이사회 표결을 통과시키지 못할 것이다. 64개국 체제는 대회 질을 떨어뜨리고 사업 모델에 위험이 된다"라고 말했다. FIFA 부회장인 알렉산다르 체페린 유럽축구연맹(FIFA) 회장 또한 "대회의 질을 떨어뜨리고 예선 경쟁을 약화시키는 나쁜 아이디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월드컵 64개국 규모 확대는 내부에서도 격한 반발이 나오고 있는 주제다. 남미축구연맹의 욕심에서 시작된 중국의 월드컵 진출 희망은 사라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