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의외의 결과,충격이다" 'IPC위원장 선거 도전'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장의 진한 아쉬움

by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의외의 결과, 충격이다."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장이 27일 열린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서울총회 IPC위원장 선거에서 배동현 BDH 재단 이사장(42·창성그룹 총괄부회장)의 낙선 후 진한 아쉬움을 표했다.

이날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IPC총회 중 진행된 신임 위원장 선거에서 배 이사장은 총회 참석 IPC 187개 회원기구의 유효투표수 177표 중 68표를 받으며 3선에 도전한 앤드류 파슨스 현 위원장(48·109표)에 41표 차로 패했다. 파슨스 IPC 위원장이 3연임에 성공했다.

배 이사장은 이번 선거를 앞두고 "재능은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기회는 그렇지 않다(Talent is everywhere, but opportunity is not)"면서 '모두가 함께합니다(Everyone Belongs)'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전세계 곳곳을 발로 뛰며 현장의 의견을 경청한 후 모든 선수와 회원국이 동등하게 존중받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모두의 IPC'를 공약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기금 설립 및 공정하고 투명한 재정 집행 ▶회원 중심의 친화적인 조직 운영 및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공정하고 체계적인 등급분류 시스템 혁신 ▶은퇴 이후 선수들의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통합적 지원 체계 마련 ▶장애인 스포츠용 기구 지원 시스템 구축 ▶전략적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및 국제 스포츠 연대 구축 ▶국제 표준 회계 시스템 도입과 투명한 경영공시를 통한 책임 있는 거버넌스 구현 등 7대 공약을 내세웠다. 아시아, 아프리카 등 그동안 소외됐던 지역의 표심을 결집하며 파슨스 위원장의 3선을 저지할 강력한 대항마로 떠올랐다.

그러나 2009년부터 IPC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면서 2017년 당선 이후 8년간 임기를 이어온 파슨스 위원장의 현역 프리미엄이 작용했다. 파슨스 현 회장과 기득권 집행부의 집중견제 속에 안방 총회임에도 불구하고 이벤트, 미디어 활동 등에 극도의 제약을 받았지만 마음을 다해 촘촘하게 준비한 서울총회에서 막판 기세를 타며 당선될 가능성에 기대가 쏠렸다. 그러나 IPC 과반수 이상이 개혁이나 변화의 요구보다 기존의 안정적인 길을 택했다. 특히 국제종목연맹(IF)을 중심으로 한 유럽, 북중미 표심이 파슨스 회장쪽으로 막판 똘똘 뭉쳤다. 배 이사장을 지지한 아시아·아프리카 세가 기득권을 넘어서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날 선거 후 '시드니패럴림픽 사격 금메달리스트'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장은 진한 아쉬움을 표했다.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과장 시절 '노르딕장애인스키연맹', 실업팀을 창단하고 싶다며 직접 찾아온 청년 배동현 이사장을 처음 만난 후 10년간 동고동락하며 2018년 평창패럴림픽부터 지난해 파리패럴림픽까지 대한민국 장애인체육의 약진과 기적의 역사를 써왔던 정 회장은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 국내에서 열리는 IPC총회에서 기적과도 같은 위원장 선거에 도전하는 내내 배 이사장과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오지를 쉼없이 누비며 그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넘쳤고, 장애인체육 발전과 혁신을 열망하는 전세계 장애인 선수, 지도자, 체육인들을 직접 만나며 희망을 목도했었다. 아쉬운 패배 직후 정 회장은 "엄청난 도전을 오래 전부터 준비했다. 5개 대륙을 돌며 패럴림픽 운동을 홍보하고 한국 장애인체육과 성장을 함께 할 수 있다는 점을 어필했는데 선거결과가 의외여서 충격"이라고 말했다. "아직까지 아시아, 아프리카가 유럽, 아메리카를 넘어서긴 부족하다고 느꼈다. 선거 결과는 겸허히 받아들이겠다. 최선을 다했지만 아직은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덜 됐고, 현직 회장의 벽을 넘기가 힘들었다"고 패인을 털어놨다. "앤드류 파슨스 위원장께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 앞으로 국내 장애인체육 발전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