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캄보디아 내 대규모 사기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가운데 일본도 수년 전부터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자국민을 대상으로 취업을 빌미로 한 사기 피해 등을 경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외무성 해외 안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일본은 캄보디아의 경우 태국과 국경을 접한 일부 지역에는 '도항 중지 권고'를 내렸고, 나머지 지역은 '충분한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분류했다.
외무성 위험 정보는 네 단계로 나뉘며, 도항 중지 권고는 '대피 권고'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지역에는 '충분한 주의', 두 번째로 낮은 지역은 '불필요한 도항 중지'를 발령한다.
외무성의 캄보디아 관련 정보 중 눈에 띄는 것은 취업 알선 사기 경고다.
외무성은 "최근 '해외에서 단기간에 고수익', '간단한 번역 작업' 등 좋은 조건의 일이 있다며 외국행을 권유하고, 캄보디아 도착 직후 여권과 연락 수단을 빼앗은 뒤 외출을 제한한 감금 상태에서 전화 사기 등 불법 행위에 종사하게 하는 사안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자와 가해자가 외국인인 사례가 적지 않다"며 지인 등의 소개로 캄보디아 취업을 검토하고 있다면 근무처 신용도, 안전 확보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캄보디아 일본대사관은 2022년 8월 유사한 내용의 글을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러한 경고에도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하는 사기 사건은 지속되고 있다.
아이치현 경찰은 지난 7일 일본인 29명을 관리하며 전화 사기 범죄를 저지른 중국인 2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북서부 포이펫에서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일본인에게 전화를 걸어 경찰이라고 사칭해 500만엔(약 4천73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일본 경찰은 올해 1월 캄보디아에서 귀국한 남성으로부터 "중국인 8명 정도 아래에서 일본인이 전화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고, 캄보디아 현지 당국이 일본인 29명을 체포한 뒤 일본 측에 인도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일본 언론은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구금됐던 한국인 64명이 전날 송환된 것을 계기로 동남아시아에서 벌어지는 범죄 사례도 조명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인 학생이 캄보디아 사기 조직에 납치·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중국인 범죄 조직 거점이 확산하는 동남아시아가 다시 특수사기 문제로 불안정해지고 있다"고 짚었다.
이 신문은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구인 정보에 속아 감금 상태에 놓이고, 일본인이 피해 보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하루 12시간 이상 전화와 소셜미디어(SNS)로 사기를 강요하고 기준을 채우지 못하면 폭력을 가했다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닛케이는 "(동남아시아) 사기 범죄 사건이 흉악해지고 관련 지역도 확대되고 있다"며 "관광 대국인 태국도 치안 우려로 방문객 감소를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신문도 "한국 젊은이들이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일이 있다'고 권유받아 캄보디아에 갔다가 사기 조직에 감금되는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며 "한국 사회에서 충격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psh59@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