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뉴요커 눈귀 사로잡은 서울시향…카네기홀 첫 초청공연에 기립박수(종합)

by


츠베덴 음악감독 지휘봉…김봄소리와 멘델스존 바협 협연
'오겜' 음악감독 정재일 작곡 '인페르노' 국제무대 초연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서울시립교향악단이 27일(현지시간) 전세계 연주자들의 '꿈의 무대'로 꼽히는 미국 뉴욕 카네기홀에서 뉴요커의 눈과 귀를 강렬하게 사로잡는 연주를 선보였다.
국내 교향악단(오케스트라)이 카네기홀의 기획공연 시리즈에 정식으로 초청받아 연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카네기홀의 메인 연주홀인 스턴 오디토리엄에서 열린 이날 연주회는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음악감독으로 유명한 정재일 작곡가의 관현악곡 '인페르노'(Inferno·지옥)의 미국 초연으로 강렬하게 막을 올렸다.
지휘봉은 서울시향 음악감독인 얍 판 츠베덴이 직접 잡았다. 츠베덴은 지난해초 서울시향에 합류하기 직전까지 뉴욕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냈다.
관현악의 강렬한 화음으로 시작하는 인페르노는 츠베덴 음악감독의 의뢰를 받고 작곡한 정 작곡가의 첫 관현악곡이다.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 '보이지 않는 도시들'의 마지막 구절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지옥의 풍경을 음악으로 형상화했다고 한다.
카네기홀의 연주곡 설명에서 정 작곡가는 자신에 대해 "정규 클래식 교육을 받지 않은 작곡가"라고 겸손히 소개하며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과 불꽃 앞에서 우리가 어떻게 계속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려고 노력했다"라고 말했다.
뉴욕 초연이 끝나자 무대에 정 작곡가가 올랐고 뉴욕 관객들은 환호와 박수로 화답했다.
이후 무대는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의 서정적인 바이올린 선율과 함께 초기 낭만주의 음악의 걸작으로 꼽히는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선보였다.
네덜란드 레지덴티 오케스트라의 상주 연주자로 유럽에서 주로 활동하는 김봄소리는 따뜻하고도 섬세한 바이올린 선율로 관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경쾌하고 우아한 선율의 3악장이 끝나자마자 관객들은 기립 박수를 보냈고, 관객들의 이어지는 환호에 김봄소리는 앙코르곡으로 크라이슬러의 '아름다운 로즈마린'을 연주했다.

이날 무대 마지막 순서는 러시아 낭만주의 교향곡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으로 장식했다.
서정적인 3악장을 숨죽이며 지켜본 관객들은 화려하고 장엄한 4악장이 끝나자 박수와 함께 객석 곳곳에서 일어서기 시작했고, 츠베덴 음악감독이 단원들을 일으켜 세우자 우레와 같은 박수가 연주홀을 채웠다.
관객들의 환호가 끝날 줄 모르고 이어지자 무대를 떠났다가 다시 나오기를 반복하던 츠베덴 음악감독은 드보르자크의 슬라브 무곡 8번을 앙코르곡으로 화답하며 이날 공연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자신의 이름을 제인이라고만 밝힌 한 관객은 공연 후 소감을 묻는 기자에게 "김봄소리의 협연도 좋았지만 첫곡으로 연주된 인페르노가 너무나 인상적이었다"며 "영화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을 모두 봤는데, 작곡가가 그 작품들의 음악감독이라고 해 깜짝 놀랐다"라고 말했다.
츠베덴 음악감독은 이날 연주를 앞두고 "서울시향이 뉴욕 카네기홀에 초청받은 것은 교향악단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이고, 음악감독으로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카네기홀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연장 중 하나로, 그 안에는 역사적인 마법이 깃들어 있다"며 "한국의 대표 오케스트라와 함께 그 무대에 서게 돼 감회가 남다르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서울시향은 이날 공연 후 오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오클라호마 맥나이트센터에서 순회공연을 이어간다.
서울시향이 대규모 해외 순회공연에 나선 것은 2022년 유럽 순회공연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p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