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실적' 엔비디아 5% 급등 출발후 3% 급락 마감…나스닥 2.2%↓
4월 '공포장' 이후 장중 변동폭 최대…"조정장세 아직 진행중"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뉴욕증시가 20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관련주 거품 우려 지속에 장중 급락 반전하며 약세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호실적 발표가 냉랭해졌던 투자심리를 되살리는 듯했지만 이날 오전까지 '반짝 강세'를 뒷받침하는 데 그쳤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6.51포인트(-0.84%) 내린 4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3.40포인트(-1.56%) 내린 6,53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6.18포인트(-2.15%) 내린 22,078.05에 각각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엔비디아의 호실적 발표에 힘입어 강세로 출발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뉴욕증시 마감 후 공개한 실적 보고서에서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62% 급증했다고 밝혔다. 연간 실적전망도 시장 기대보다 높게 상향 조정했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실적과 함께 낸 성명에서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진 기관투자자와의 콘퍼런스 콜에서 "AI 거품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 관점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의 호실적과 황 CEO의 발언에 환호했고,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의 개장초 주가 상승률은 5%에 달했다.
그러나 상승 랠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오전 장중 매수 동력이 눈에 띄게 약해지면서 상승 폭을 빠른 속도로 반납했고, 증시 고평가 우려가 되살아나면서 정오 무렵에는 S&P 500 지수가 약세로 하락 반전했다.
이날 나스닥 종합지수의 장중 고점에 대비 저점의 낙폭은 5%에 달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증시 변동성이 급격히 커졌던 지난 4월 9일 이후 가장 큰 장중 변동 폭이다.
엔비디아는 이날 결국 3.15% 하락했고, 장중 고점 대비 낙폭은 8%에 달했다.
반도체 제조사 마이크론은 이날 낙폭이 10.87%에 달했고, AMD(-7.84%), 팔란티어(-5.85%), 인텔(-4.24%), 퀄컴(-3.93%) 등 반도체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다.
노동시장 상황에 관한 혼재된 지표를 보여준 9월 고용보고서는 12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월 금리인하 기대감을 되살리지 못하면서 이날 증시 약세 전환을 막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9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11만9천명 증가해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실업률이 4.4%로 올라 고용시장 약화 우려를 지속하게 했다.
한편 다우지수 구성종목인 미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는 이날 호실적 발표에 6.46% 급등해 다우지수 낙폭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글로벌트 인베스트먼트의 토머스 마틴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엔비디아에 대한 많은 기대감이 형성돼 있었고, 엔비디아는 좋은 실적을 냈다"면서도 "하지만 인플레이션, 고용, 연준 정책, 관세 등에 많은 의문 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들은 아직 매도를 마치지 않았다"며 "시장은 조정 중이고, 지금 장세는 조정 과정의 일반적인 양상"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고용보고서 발표 후 금융시장은 12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조금 높이긴 했지만 여전히 동결 기대감이 우세한 상황에 머물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12월 9∼1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40%로 반영, 하루 전의 30% 대비 상향 반영했다. 하지만 동결 확률은 60%로 여전히 높게 유지했다.
p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