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입찰 업체 포기…공대위 "정부 개입해야"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조민정 이도흔 기자 =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공개 매각을 위한 경쟁 입찰을 진행했으나 인수를 희망하는 업체를 찾지 못했다.
서울회생법원은 26일 "공개 매각 관련 본입찰 마감 시점인 오후 3시 기준으로 입찰서를 제출한 업체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법원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다음 달 29일까지 홈플러스와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 채권자협의회 및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진행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법원은 "자체적인 회생계획안 마련 또는 2차 인수합병(M&A) 절차(재입찰) 진행 여부를 포함해 어떻게 회생 절차를 진행할 것인지를 논의한 뒤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달 말 인공지능(AI) 유통기업인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개발업체인 스노마드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했으나 본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이번 공개입찰 결과와 관계없이 가장 현실적인 회생방안이 M&A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상황"이라며 "회생계획안 제출일인 오는 12월 29일까지 입찰제안서를 계속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법원과 채권단을 포함해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회사 정상화를 위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 10만 명에 달하는 직간접 인원의 고용 안정과 협력사, 입점주 보호를 위해 반드시 M&A를 성사시키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이번 입찰 무산은 민간의 자율적 행위로는 홈플러스 정상화가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재차 정부의 공적 개입을 촉구했다.
공대위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고 "정부가 개입하지 않으면 입찰 기한이 연기되더라도 홈플러스는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것이며 청산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지도부 3명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과 정부 개입을 촉구하며 지난 8일부터 단식 농성 중이다. 이번 주 내에 정부 개입이 없을 경우 다음달 1일부터는 물과 소금도 끊는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선제적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했고, 법원은 신청 11시간 만에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이후 인수 희망자를 물색해온 홈플러스는 우선 협상 대상자부터 찾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M&A를 진행해오다 진전이 없자 지난 10월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냈다.
leed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