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스토리]음원 사재기 논란 이후, 달라진 3가지는?

기사입력 2015-10-06 08:48


음원 차트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수 임창정

음원 사재기 논란이 재점화 된지 어느덧 보름이 지났다.

지난달 21일 음악사이트에서 사재기에 사용된 것으로 의심될만한 수상한 아이디가 무더기로 발견되며 시작된 사재기 논란은 이미 2년 전에도 한 차례 문제가 제기돼 검찰 수사까지 진행됐지만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결론이 난 적이 있다.

그렇다고 이번에 다시 논란이 된 이후 눈에 띄는 성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저 몇몇 기획사들이 앞다투어 이번에야 말로 음원 사재기를 근절시키자고 힘주어 말하며 적극적인 대응 방침을 밝힌 상황이다. 또 SM, YG, JYP, FNC엔터테인먼트 등 17개 기획사와 로엔엔터테인먼트, CJ E&M, 유니버설뮤직, KT뮤직 등 음원유통사들이 회원으로 있는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가 5일 음원 사재기 근절을 위한 4가지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힌 것이 그나마 가장 큰 진전이다.

큰 흐름에서 보면 달라진게 없어보이지만 음원 사재기의 결과가 직접적으로 반영되어온 음원 차트에서는 이번 논란 이후 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음원 사재기 논란 이후 음원 차트에서 생긴 3가지 변화를 알아봤다.


멜론 실시간 차트 4위에 오른 아이콘
신곡의 지붕킥이 사라졌다

멜론의 실시간 차트를 살펴보면 점유율이 급격히 상승해 마치 지붕을 뚫고 나올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지붕킥'이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사실 '지붕킥'은 네티즌들이 순위가 급격히 올라오는 현상에 붙여 사용하던 단어인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멜론이 이 단어를 차용해 쓰고 있다.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지붕킥'은 일종의 자존심으로 통한다. 응원하는 그룹이 신곡을 발표하면 얼마나 짧은 시간 안에 차트 1위를 차지하느냐가 인기와 비례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인기 아이돌은 지붕킥을 기본으로 하고, 모든 차트의 1위를 싹쓸이하는 '올킬'을 달성해야 성공적인 컴백이라고 평가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음원 사재기가 이슈가 된 이후 멜론 차트에서 신곡을 발표하자 마자 지붕킥을 기록한 경우는 사라졌다. 대신 임창정의 '또 다시 사랑'처럼 발표된 지 한참이 지난 이후에야 많은 사람들의 귀를 사로잡아 지붕킥을 기록하는 등 최초 지붕킥을 기록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길어졌다.


지붕킥과 관련해 멜론 측은 "지난해 6월 사이트를 개편하며 도입한 개념이다. 전체 이용자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하는 것을 100점으로 환산해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지붕킥이라고 붙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붕킥이 붙는 일정 수치가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외부에 공개한 적이 없는 대외비다. 다만 지붕킥을 기록했다는 것은 그만큼 실시간으로 많은 이용자가 해당 노래를 듣고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소유(왼쪽)-권정열. 사진제공=스타쉽엔터테인먼트
아이돌의 차트 장악 무너져

그동안 음악 사이트의 차트는 사실상 아이돌 잔치였다. 그도 그럴 것이 음악 사이트의 이용 고객 중 상당수가 10대~20대 일 뿐만 아니라 이들이 선호하는 음악이 아이돌 일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10대 이용고객은 그저 음악이 좋아 듣는 리스너도 있지만 좋아하는 아이돌이 있는 팬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일부 팬 카페에서는 좋아하는 가수의 신곡이 발표되면 순위를 높이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 공공연한 사실이었다.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줄어드는 새벽 시간에 집중적으로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을 해야 하고, 그러다보니 새벽 2~3시만 되면 차트 1위로 올라오는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사재기 논란 이후 아이돌 음악의 차트 장악은 종적을 감췄다. 5일 오후 3시 현재,
멜론의 실시간 차트를 살펴보면 1위 임창정('또 다시 사랑'), 2위 개리('바람이나 좀 쐐), 3위 소유Ⅹ권정열('어깨'), 4위 아이콘('취향저격), 5위 박경('보통연애')로 톱5 중 아이돌은 아이콘과 박경 정도라 할 수 있다.


개리
장르의 다양성. 이게 진짜지!

가요 관계자들 대부분은 이번 음원 사재기 논란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사실 그동안은 대형 아이돌의 컴백일과 겹치지 않기 위해 눈치보기 바빴다면 이제는 노래만 좋으면 얼마든지 그들과 경쟁해 볼 수 있다는 자신감까지 생겼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아이돌 가수들 사이에서도 노래와 무대의 완성도 보다는 비슷한 시기에 컴백하는 다른 아이돌의 팬덤에 더 신경을 썼던 것이 사실이다. 그만큼 인기 아이돌은 절대 넘어설 수 없는 상대였다"며 "하지만 소문으로만 떠돌던 음원 사재기가 중단된 상황에서는 노래만 좋다면 언제든지 인기가 급상승 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팬덤과 기획사의 힘이 아닌 노래가 순위 결정의 잣대가 되며 자연스럽게 다양한 장르가 차트 상위권에 포진하게 됐다. 임창정의 발라드와 개리의 힙합 그리고 소유Ⅹ권정열의 콜라보레이션을 비롯해 인기 아이돌까지 차트 상위권이 이전보다 훨씬 장르적으로 풍부해졌다는 평가다.

음악 사이트의 한 관계자는 "최근 차트를 살펴보면 음원 사재기 논란 이전과 비교해 분명 차이가 있다. 지금은 작은 변화지만 10월에는 많은 발라드 곡들이 나올 것인만큼 차트에서 느낄 수 있는 변화는 더욱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