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난파한 대전의 선장으로 취임했다. 올림픽대표팀 코치직,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신화의 꿈을 과감하게 내던졌다. 현역시절 '테크니션'으로 불렸던 K리그 그라운드를 향한 향수였다. 하지만 야망은 곧 그늘이 됐다. 데뷔전이었던 6월 3일 수원전부터 7월 26일까지 11경기서 3무8패에 그쳤다. 7월 한 달 간 전패(5패) 했다. 하지만 최 감독은 '반전'을 노래했다. "추가 선수 등록 기간 동안 새로운 선수들을 데려올 것이다. 지금은 시련이지만 후반기에는 분명히 반등할 것이다. 11월 시즌 마감 테이프를 끊을 때 (클래식 잔류라는) 결과로 보여주겠다."
최 감독은 호언장담을 실천으로 옮겼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달 1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K리그 선수 추가등록 결과, 대전은 클래식과 챌린지(2부리그) 통틀어 가장 많은 11명을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추가등록 기간은 말 그대로 '긴급처방'이다. 대부분의 팀들이 시즌 전 한 해 농사를 위한 준비를 마친다. 전반기를 보낸 뒤 보완할 부분이 필요하면 2~3명 정도를 영입하는 선에서 그친다. 하지만 대전은 11명을 영입한 것 뿐만 아니라 임대와 이적, 계약해지 등 방출 선수 숫자도 11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이쯤되면 새판짜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선택은 거침이 없었다. 지난해 챌린지서 27골을 쏘아 올린 주포 아드리아노를 FC서울로 보냈다. 아드리아노의 존재감은 컸지만, 최 감독이 그리는 새 그림과는 맞지 않았다. 서로 윈-윈 하는 길을 택했다. 아드리아노 외에도 송주한 등 기존 주축 선수들을 내보내며 방을 비웠다. 대신 울산의 기대주 고민혁을 비롯해 완델손 하피냐와 임대 계약을 맺었다. 또 자유계약(FA) 신분이던 이현승과 실바를 데려왔고, 경남에서 활약 중이던 한의권도 새 식구로 맞아들였다. 최 감독이 올림픽대표팀 코치 시절 눈여겨 봤던 선수들이 대전으로 모여들었다. 외국인 선수 숫자도 아시아쿼터(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 선수 1명 추가 등록)까지 채우면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포지션 별 알짜배기들이 모였다는 평가다. 대전 구단 관계자는 "구단 여건 내에서 감독이 원하는 부분을 최대한 들어주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클래식은 2015년 동아시안컵을 전후해 2주 간의 휴식기다. 그러나 대전은 쉴틈이 없다. 최 감독은 2015년 동아시안컵 기간 동안 주어지는 리그 휴식기 동안 강도 높은 훈련으로 조직력과 전술을 가다듬고 있다. 새판을 짠 대전의 후반기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