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이 이번 주에 가부간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임에 따라 그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은 삼성물산이 우호 관계에 있는 KCC에 넘긴 자사주 899만주(5.76%)의 의결권이 내달 17일 주주총회에서 행사되지 못하게 막아달라는 요구다.
그러나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에서 엘리엇이 승소하게 될 경우 KCC에 넘어간 5.76%의 지분에 대해 의결권 행사가 금지, 엘리엇은 단숨에 판세 역전을 노릴 수 있게 된다.
재계와 금융권은 삼성물산이 이번 가처분 사건에서 이겨도 내달 주총까지 상황은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합병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보이는 국민연금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는 게 이유다. 국민연금은 지난 24일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를 통해 '주주가치 훼손'을 이유로 SK C&C와 SK의 합병에 반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재계는 SK C&C와 SK간 합병과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간 합병이 총수 일가의 지분이 높은 기업에 유리한 합병 비율이 적용됐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국민연금과 함께 합병 과정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되는 일성신약도 삼성물산 합병에 반기를 들 분위기다. 삼성물산 지분 2.11%를 보유한 윤석근 일성신약 대표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이 불합리하고 불공정하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엘리엇과 연대 가능성이 거론되는 미국 헤지펀드 메이슨캐피털매니지먼트가 삼성물산 지분 2.2%를 확보한 것도 삼성을 부담스럽게 만드는 요소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