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 팀이 발견한 '또 하나의 지구'…태양계 지구와 비교하면?
 |
| 또 하나의 지구를 찾는 케플러 미션의 성과. |
|
또 하나의 지구를 찾는 미항공우주국 NASA의 케플러 미션 팀이 지금까지 발견한 행성 중 가장 지구와 가까운 케플러 452b의 존재를 발표하면서 천문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전 세계에 인터넷으로 생중계된 브리핑을 통해 14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 항성 '케플러-452'와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항성의 나이는 60억 년으로, 우리 태양(45억년)보다 15억 년 더 오래됐다.
그 주변을 도는 행성 케플러-452b는 지름이 지구의 1.6배이며, 공전 궤도는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거주 가능 구역' 내에 있다.
케플러 452b 발견 이전부터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지구에 비슷하다고 추정되는 외계 행성은 존재해 왔다.
특히 케플러 62e , f , 케플러 186f , 케플러 438b 등은 발견 될 때마다 "지금까지 지구와 가장 비슷한 외계 행성"으로 일컬어졌다.
하지만 "케플러 452b야말로 지구에 가장 닮은 외계 행성"이라고 케플러팀은 자신한다.
 |
| 케플러 452b가 있는 케플러 452 항성계와 태양계의 비교 |
|
케플러-452b의 공전주기는 385일로 지구보다 약 5% 길고, 이 행성과 그 모항성 케플러-452의 거리는 지구-태양 간의 거리보다 5% 멀다.
이 행성의 질량과 화학적 조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과거 연구 경험으로 보면 이 정도 크기의 행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바위로 돼 있을 개연성이 상당히 있다.
케플러-452b의 발견을 계기로 지금까지 확인된 행성의 수는 1030개로 늘었다.
연구팀은 이 발견을 학술지 '디 애스트로노미컬 저널'에 게재할 예정이다. <스포츠조선닷컴>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