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가 추진 중인 수박·토마토 등 특화 품목 중심의 이모작 공동영농 모델이 소득 증대와 청년 유입 등에 성과를 내고 있다.
특화형 공동영농은 종자, 비료 등 각종 농자재를 공동으로 구매해 경영비는 낮추고 선도 농가의 기술 지도와 표준 재배 설명서 공유 등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모델이다.
또 출하 물량을 규모화해 가격협상력을 높이고 이모작 재배로 소득을 증대한다.
봉화 재산지구(26농가·21㏊)에서는 시설재배로 수박을 수확한 후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이모작을 시행해 ㏊당 기존보다 3배 정도 높은 4억5천만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기존 일반 노지에서 수박을 재배하면 ㏊당 9천만원 정도의 소득이 발생하고 시설재배로 전환한 경우는 1억5천만원의 소득을 올린다.
이모작 공동영농으로 소득이 많이 늘면서 재산지구에는 5명의 청년이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 들어와 공동영농에 참여, 후계자 수업을 받고 있다.
청년들은 관리가 편하고 시설 수박 생산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수직 재배 기술도 도입하고 있다.
김윤하 재산토마토작목회 농업회사법인 대표는 "각자 생산할 때는 취급량이 적어 유통(납품)업체로 직접 가지고 가야 했는데 농가로 구성된 법인에서 공동으로 구매, 생산, 출하하면서 규모화하니 이제는 업체들이 직접 가지러 온다"며 "수박과 토마토 이모작으로 농가소득도 많이 올라 노지수박을 포함하면 보통 농가는 4억원 정도, 6농가는 1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재산지구에는 공동영농 참여 희망 농가도 늘고 있으며 올해 3년 만에 아기기 2명 태어났는데 이 가운데 1명은 가업 승계를 위해 들어온 청년 부부가 출산했다고 한다.
경북도는 2023년부터 농업 대전환을 위해 '주주 참여형'과 '특화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시군으로 확산하고 있다.
주주 참여형은 고령·은퇴 농가가 땅을 내놓고 법인은 규모화한 농지에서 대형 농기계로 이모작을 해 참여 농가에 배당으로 소득을 돌려주는 방식이고 특화형은 개별 영농을 하면서 선도 재배 기술 공유와 공동 방제, 유통·판매 등에 협력한다.
도는 농업 대전환이 소득 배가, 청년 유입, 지방소멸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경 영순지구의 주주 참여형 이모작 공동영농, 특화형 공동영농인 봉화 재산지구와 청송 주왕산지구 다축형 사과원 모델에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규모화, 기계화, 첨단화를 통한 농업 대전환이 대한민국 농업의 대표 모델이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haru@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