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박모씨(61세, 부천)는 지난주부터 허리에 강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다리에 갑자기 힘이 들어가지 않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 증세가 점차 심해지자 그는 결국 가까운 정형외과를 찾기에 이르렀고 검사결과 척추관협착증으로 밝혀졌다. 박씨는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척추내시경수술을 고려하고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의 근골격계가 퇴행하면서 여러 가지 기능 저하 및 척추질환에 노출되는데, 이러한 퇴행성 척추질환으로는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 등이 대표적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과 혈관조직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쑤시는 듯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증세가 심해지면 감각 이상, 다리 근력 저하 등이 동반된다.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가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요추 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불린다. 오랫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서있는데 어려움을 겪기 쉬우며 심해지면 허리의 통증이 허벅지와 종아리 등 아래로 내려오는 하지방사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같은 척추질환은 증상이 가벼운 초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나 도수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증세가 이미 악화되어 보존적 치료나 비수술적 치료로는 개선이 어려운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인 척추내시경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척추내시경수술(biportal endoscopic surgery)은 병변 부위에 내시경을 삽입한 후 척추 질환의 원인인 비후된 인대나 뼈를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피부절개 없이 약 8-9mm정도의 작은 구멍을 통해 수술이 이뤄지기 때문에 흉터가 거의 남지 않으며 고령자 및 만성 질환자도 부담 없이 수술 받을 수 있다.
시술자가 직접 내시경으로 내부의 환부를 관찰하면서 수술을 실시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며, 해당 병변 외에 주변 허리 조직이나 신경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점 역시 큰 특징이다.
이러한 척추내시경수술을 계획하고 있다면 척추 마디 및 신경 주변의 혈류 등 여러 가지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데다 섬세한 술기를 필요로 하는 만큼 반드시 풍부한 수술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숙련된 정형외과 전문의를 통해 수술을 진행해야 출혈이나 염증 등 부작용을 최소화한 가운데 높은 수술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병원 선택 시에는 해당 의료기관이 척추수술에 필요한 수술장비와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예후 관찰 및 운동요법 등 사후관리가 잘 이뤄지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척추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생활 속에서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통해 허리근육을 강화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과도하게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행동 역시 자제해야 한다.<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도움말 : 부천정형외과 디딤병원 김민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