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박모씨(37세, 수원)는 지난달부터 허리에 원인 모를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나 일시적인 현상이라 여겨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러나 증상이 점차 심해지자 결국 박 씨는 최근 가까운 정형외과를 찾기에 이르렀고 검사결과 그의 병명은 척추 디스크로 밝혀졌다.
최근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젊은 층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이는 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로 일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해 허리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다 운동부족이나 잘못된 자세 등에 의해 허리근육이 약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허리 통증은 방치하거나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디스크 등 척추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 만약 장기간 통증이 지속돼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면 척추 디스크를 의심해보고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척추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디스크)이 제자리를 이탈해 주변 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하는 대표적 척추 질환이다. '추간판 탈출증' 이라고도 불리는데, 여기서 추간판(디스크)은 척추 사이에 위치한 조직으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딱딱한 뼈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추간판 탈출증은 통상 중장년층에게 잘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장시간 컴퓨터 앞에서 같은 자세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층에서도 그 환자들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척추 디스크 증상은 처음에는 허리에 가벼운 통증이 나타나다가 증세가 심화될수록 통증의 강도가 심해지고, 허리 아래 다리 쪽으로 뻗치는 방사통이 발생해 감각 저하, 저림, 근력 약화 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게 된다. 자다 가도 자세를 바꾸거나 몸의 움직임이 생길 때면 통증이 일시적으로 강해져 수면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척추 디스크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증세가 가벼운 초기의 경우 투약치료, 물리치료, 경막 외 주사요법 등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증상 개선이 기대 가능하지만 이미 통증이 심해져 행동에 제약이 따를 정도라면 수술적 치료인 내시경 추간판 제거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내시경 추간판 제거수술(PELD)은 내시경으로 병변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를 찾아 제거하는 수술이다. 레이저로 문제가 되는 디스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데다 정상적인 주변 조직에 피해를 거의 주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여기에 약 5mm 정도의 피부 절개만을 통해 수술이 이뤄지기 때문에 흉터에 대한 우려 역시 덜 수 있다. 부분 마취 하에 수술시간은 30분~1시간 정도 소요되며, 당일 입원 및 퇴원이 가능해 바쁜 직장인들도 부담 없이 시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시술자의 숙련도가 부족할 경우 개인에 따라 출혈이나 염증, 출혈, 감염, 신경 손상 등 수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디스크 수술에 대한 풍부한 임상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정형외과 전문의를 통해 수술을 진행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한 가운데 높은 수술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선택 시에는 해당 의료기관이 3D-CT 등 정밀 진단에 필요한 첨단 의료장비를 구비하고 있는지, 철저한 1:1 진료 및 상담을 통해 맞춤형 수술이 이뤄지는지, 수술 후에도 체계적으로 사후관리 및 예후 관찰을 진행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도움말: 수원 제이에스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김수범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