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디지털헬스케어 등 4대 신산업, 2028년까지 16만8천명 필요

by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등 4대 신산업 분야의 석·박사급 인력 부족률이 기존 주력산업의 3.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 말 기준 4대 신산업에 참여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산업기술인력은 총 10만5000명, 부족 인력은 4755명으로 집계됐다. 평균 부족률은 4.3%로 12대 주력산업 평균 부족률 2.2%의 두배에 달했다.

특히 대학 학부와 석·박사급 부족률이 각각 4.9%와 9.1%로, 12대 주력산업 부족률 2.3%와 2.4%보다 훨씬 높았다.

2028년까지 4대 신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 수는 전년보다 6만3000명 늘어난 16만8000명으로 추산됐다.

분야별로 보면 디지털헬스케어는 2018년 기준 3만805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부족률은 4대 신산업 중 가장 큰 7.1%였다. 인력 수요는 연평균 5.2%씩 증가해 8년 뒤에는 6만3048명이 필요할 전망이다.

스마트·친환경 선박은 3만5549명이 종사하고 있고 부족률은 2.6%다. 2028년 필요인력은 4만9217명으로 예측됐다. 항공드론은 4823명이 종사하고 있고 부족률은 4.3%이다. 인력 수요는 연평균 6.7%씩 늘어나 2028년에는 9258명이 필요하다.

지능형 로봇은 2만6338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부족률은 2.6%다. 2028년에는 4만6567명이 필요할 전망이다.

올해 산업부는 4대 신산업에 공통으로 부족률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석·박사급 인력 양성 지원을 확대하고 내년에는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