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일본 맥주 불매 영향…지난해 수입 주류 출고량 10년 만에 감소

by

일본 맥주 불매 운동의 영향으로 지난해 주류 수입이 10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세청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 주류 출고량은 총 46만6000㎘로 전년보다 6.0% 줄었다. 수입 주류 출고량이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수입 주류 시장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맥주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여왔다.

2009년 11만4000㎘이던 수입 주류 출고량은 2018년 49만5000㎘로 336.6% 증가했다. 특히 수입 맥주 출고량은 같은 기간 4만1000㎘에서 39만㎘로 853.1% 늘었다. 수입 맥주는 종류가 다양하고 원산지 국가들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관세율이 낮아져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

그러나 지난해 수입 맥주 성장세가 꺾이며 전체 수입 주류 출고량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수입 맥주 출고량은 35만6000㎘로 전년보다 8.7% 줄었다.

지난해 7월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단행하자 국내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거세게 일었고 일본 맥주도 외면을 받았다. 아사히·기린·삿뽀로 등 매출 상위권에 올랐던 일본 맥주들의 자리를 지금은 칭따오, 하이네켄, 호가든 등 중국과 벨기에 맥주 등이 차지하고 있다.

수입 주류 중 맥주 다음으로 비중이 큰 위스키는 2010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출고량은 1만2000㎘로 전년보다 15.6% 줄었다.

이에 대해 2016년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법), 2018년 주 52시간제의 시행 등으로 유흥업소용 수요가 줄고 저녁 회식이나 '독한 술'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위스키 업계가 타격을 받았다는 분석이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