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그날도 아닌데 피가 보여? '비정상 자궁출혈' 의심해봐야

by

직장인 A씨는 생리 주기가 아닌데 갑자기 피가 비쳐서 놀란 마음에 인터넷을 검색했다가 온갖 산부인과 질환들이 쏟아지면서 불안한 마음을 안고 퇴근 후 서둘러 산부인과에 내원했다. 진료를 보고 자궁 초음파 검사를 해보았지만 자궁에는 이상이 없으며 일시적인 호르몬 불균형으로 '비정상 부정출혈'이 나타난 것 같다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생리 주기는 21∼35일이며 30∼80㎖의 출혈이 나타난다. 하지만 생리주기가 아닌데 출혈이 나타나거나 최근 생리량이 갑자기 증가한 경우, 일주일 이상 생리를 하거나 탐폰 및 패드에 모두 흡수되지 못할 정도의 많은 생리량, 3㎝ 이상의 핏덩어리가 나오는 경우, 혈액 검사 시 철결핍성 빈혈이 나타난 경우 등일 때 '비정상 자궁출혈'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 자궁출혈은 자궁경부 용종,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 자궁경부암 등 산부인과적 질환이 원인이거나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호르몬 이상으로 생리량이 평소보다 많아졌거나 이상 출혈이 발생하는 기능성 자궁 출혈로 분류한다.

대부분의 자궁경부 용종, 경부암 등 산부인과적 질환은 질 초음파나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해당 원인에 대한 치료가 선행된다.

원인이 없는 기능성 자궁출혈의 경우 비정상 자궁출혈의 약 50%를 차지하며 대부분 호르몬 불균형이 원인이다. 이는 스트레스, 영양부족, 과도한 운동, 비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생리주기 정상회복과 지혈, 빈혈 교정 등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치료로 약물, 수술 등을 고려한다.

대동병원 산부인과 김형태 과장은 "기능성 자궁출혈의 경우 향후 임신을 원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수술보다는 약물 요법을 시행하므로 기저질환 등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 후 진행해야 한다"며, "약물치료를 했으나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화될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기능성 부정출혈은 일시적으로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 호르몬 이상 질환에 의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비정상 자궁출혈이 의심될 경우 초기에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