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위드코로나'만 기다리며 한숨 짓는 KBL, 관중 입장 언제나 열리려나

by

[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 "어디에 하소연도 못하고, 속만 태우고 있죠."

새 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잔뜩 들떠있어야 할 시기에 한숨만 쏟아내고 있다. 프로농구계 이야기다. 2021~2022시즌 개막(9일)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어쩐지 흥이 나질 않는다. 도무지 끝이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악재 때문이다. 백신 보급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어, 이번 시즌에도 관중 입장은 기약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프로농구연맹(KBL)은 시즌 개막을 사흘 앞둔 6일, 2021~2022시즌 정규리그 관중입장 방침을 발표했다. KBL은 "2021~2022 KGC 인삼공사 정관장 프로농구 관중 입장과 관련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적용해 수도권 지역 5개팀(서울 삼성, 서울 SK, 고양 오리온, 안양 KGC, 수원 KT)은 무관중 경기로 진행한다. 비수도권 지역(원주 DB, 전주 KCC, 대구 한국가스공사, 울산 현대모비스)은 최대 20%까지 관중 입장이 가능하며, 창원 LG는 11일 홈 공식 개막전에 한해 유관중(최대 20%)경기로 진행하고 이후 무관중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결국 이번 시즌에도 정상적인 관중 입장이 안되는 상황에서 시즌 개막을 맞이하게 된 셈이다. 코로나19의 기세가 여전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아무래도 기운이 빠질 수 밖에 없다. '관중의 유무'는 프로농구 시즌의 흥행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다. 관중 수입 뿐만 아니라 마케팅 방향까지 결정하기 때문이다.

KBL 관계자는 "연맹 마케팅 팀을 비롯해 각 구단의 해당 파트 담당자들이 모두 울상이다. 올해는 백신보급률이 늘어나면서 관중 입장을 기대해봤는데,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면서 "정부의 방침을 따르면서 관중 입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문의 중이다. 어쨌든 관중이 들어와야 프로농구의 인기도 늘어날 수 있다. '위드코로나' 단계가 돼서 관중 입장도 가능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