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5년간 유모차 사고 1200건 넘어"…소비자원·국표원,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by

본격적인 야외 나들이가 시작되는 봄철을 맞아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이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모차에 대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유모차 사고 사례는 총 1206건 접수됐다. 최근 5년간 유모차 관련 사고는 2019년 267건, 2020년 152건, 2021년 258건, 2022년 242건, 2023년 287건으로 매해 200건 이상 보고되고 있다.

안전사고 현황 분석 결과, 유모차에 탄 아이가 떨어지는 것 같은 추락이 66.2%(798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손잡이와 접히는 부분 등 유모차의 틈 사이에 보호자나 아이의 신체가 끼여 피부가 찢어지는 것 같은 눌림·끼임 사고는 3.4%(41건)를 차지했다.

위해 부위별로는 '머리·얼굴'에 상해를 입은 사례가 69.7%(841건)였으며, 이어 '손·팔' 4.2%(51건), '둔부·다리' 1.2%(14건), '목·어깨' 0.5%(6건)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위해 증상에서는 추락·낙하하거나 신체 끼임이 많은 사고의 특성상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35.9%(433건)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 및 타박상' 35.6%(429건),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3.5%(4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과 국표원은 ▲ 유모차를 조립할 때 주변을 확인해 보호자와 아이의 신체 끼임이 없도록 할 것, ▲ 영·유아 탑승 전 유모차 프레임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 ▲ 탑승 후에는 안전벨트를 조여줄 것, ▲ 멈춰있을 때도 반드시 보호자가 유모차를 잡고 있을 것, ▲ 영·유아가 탑승한 채로 계단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하지 말 것 등을 당부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